검찰이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간의 합병 과정에서 찬성을 종용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문형표 전 보건복지부 장관을 소환 조사한다.
검찰 특별수사본부는 오늘(24일) 현재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을 맡고 있는 문 전 장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한다고 밝혔다.
문 전 장관은 지난해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이 합병을 추진할 당시 '청와대 뜻'을 거론하며 합병 찬성을 밀어붙였다는 의혹이 제기된 상태다.
앞서 검찰은 홍완선 전 국민연금기금운용본부장을 어제(23일) 오후 12시 반쯤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오늘 오전 4시까지 15시간 넘는 조사를 했다고 밝혔다.
국민연금은 지난해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간 합병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당시 미국 헤지펀드 엘리엇 매니지먼트가 합병 반대 세력 결집에 나서면서 삼성 그룹 지배구조 재편에 걸림돌이 되는 듯했다. 시가를 기준으로 결정된 합병 비율이 제일모직 최대 주주인 이재용 부회장 등 삼성 총수 일가에 유리하고 일반 주주들에게는 불리하다는 분석이 나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삼성물산 주주총회에서 당시 10%의 지분을 가진 국민연금이 찬성표를 던지면서 합병안이 가결되는 데 도움을 줬고, 이 과정에서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가 의결권전문위원회를 거치지 않았다는 사실이 최근 드러났다.
삼성이 최순실 씨 모녀가 소유한 독일 비덱스포츠에 35억 원을 지원하고, 미르와 K스포츠 재단에 2백억 원이 넘는 출연금을 낸 데는 삼성 기업 문제 해결의 대가가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 상태다.
검찰은 문 전 장관을 상대로 찬성 의결이 이뤄진 경위와 이 과정에서 청와대 등으로부터 압력이 있었는지 여부, 삼성 측과의 교감이 있었는지 등을 조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