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한–베 수교 33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과 베트남의 우정이 ‘빛’이라는 예술의 언어로 재해석된다.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과 한–베 수교 33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빛으로 잇는 우정, 북두칠성 아래의 두 나라 이야기’가 오는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국회의원회관 3층 로비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한–베의원친선협회와 주한 베트남 대사관이 공동 주최하고, 한...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사단법인 서귀포룸비니청소년선도봉사자회(대표 박은교)가 24일 남원중학교 3학년 학생 80명과 교사7명, 봉사자회원 8명 등 95명이 참여한 가운데 제주의 아픈 역사 바로알기 탐방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 프로그램은 일제강점기와 제주4·3의 비극이 고...
경상북도는 30일 서울시청에서‘서울시 공공급식 지원사업’에 경북의
친환경농산물 공급을 주요 골자로 하는‘도농상생 공공급식 추진 업무
협약식’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은 정병윤 경상북도 경제부지사를 비롯한 서울시장 등 전국
10개 광역자치단체장이 공동으로 협약을 체결했으며, 경북도는 이번
협약을 통해 도농상생 상호 협력기틀을 다지고, 농산물생산 산지와
소비지 간 공공급식 식재료 조달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도농상생 공공급식 지원사업’은 서울시 공공급식에 필요한 건강한
식재료 조달을 위해 서울과 경북(지방), 도시와 농촌이 상호 공동 협력
하기 위한 것으로,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서울시 공공급식에 조달
하기 위해 공적 조달체계를 마련하고 직거래 선(善)순환 유통구조를
확립하기 위한 사업이다.
※ 서울시 공공급식시설에 지역에서 생산된 건강한 농산물을 직거래 방식으로 공급 ⇒ 도농상생 추구
경북에서 파악한 서울시 공공급식 시설은 어린이집, 아동센터 등
7,338개소 30만명 정도(경북 초․중․고 전체 학생수와 비슷)이며, 공공급식
식재료의 소비시장 규모는 2019년까지 291억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돼 타 자치단체에 빼앗길 수 없는 소비시장으로 평가하고 있다.
경북도는 전국 최대 농식품 공급기지로 13개 품목의 농산물 생산량이
전국 최고이며, 친환경농산물 생산기반이 탄탄해 서울시 공공급식 소비
시장을 선점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서울시 공공급식 유관
기관(단체)간 네트워킹을 강화하는 등 적극적인 농업행정으로 서울시
공공급식 소비시장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또한, 2014년부터 서울시 공공급식과 유사한 사업인 ‘친환경농산물
학교급식 현물공급 지원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오고 있고, 시․군
학교급식지원센터와 전국 최초 광역급식지원센터를 운영하는 등 타
자치단체보다 경험과 노하우, 기반이 탄탄해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정병윤 경상북도 경제부지사는 “서울시 공공급식에 경북에서 생산한
친환경농산물 공급으로 FTA등 수입개방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가의 소득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경북산
농산물의 판로 지원을 위해 모든 역량과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
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