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한–베 수교 33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과 베트남의 우정이 ‘빛’이라는 예술의 언어로 재해석된다.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과 한–베 수교 33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빛으로 잇는 우정, 북두칠성 아래의 두 나라 이야기’가 오는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국회의원회관 3층 로비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한–베의원친선협회와 주한 베트남 대사관이 공동 주최하고, 한...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사단법인 서귀포룸비니청소년선도봉사자회(대표 박은교)가 24일 남원중학교 3학년 학생 80명과 교사7명, 봉사자회원 8명 등 95명이 참여한 가운데 제주의 아픈 역사 바로알기 탐방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 프로그램은 일제강점기와 제주4·3의 비극이 고...
세월호를 육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작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특히 이송작업에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수산부 등에 따르면 6일 오전 2시부터 모듈 트랜스포터를 이용해 세월호 선체를 들어올리는 시험에 돌입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세월호 선체 앞뒤만 들리고 중앙부분은 꿈쩍도 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해수부는 운반전문기업 ALE, 인양 자문사인 TMC 등과 함께 하중이 어느 곳이 더 받고 덜 받는지를 확인하고 모듈 트랜스포터의 재배치 등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해수부 관계자는 "아직 실패 여부 판단은 이르다"며 "(육상 이송과 관련해) 보완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해수부는 지난 5일 오후 1시15분부터 세월호를 선적하고 있는 반잠수선의 위치를 바꿔 모듈 트랜스포터가 진입할 수 있도록 부두에 세로로 접안했다.
이어 오후 7시30분부터 세월호 선체를 육상으로 운송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했다. 오후 11시께 모듈 트랜스포터 480축을 반잠수식 선박에 순차적으로 진입시키는 작업을 마무리했다.
한편 세월호를 육상에 거치하기 위해서는 모듈 트랜스포터가 받는 하중에 대한 정확한 계산, 반잠수선-부두간의 균형, 세월호를 육상에 안전하게 거치하는 것 등 3가지 난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