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이 몰려 있는 대전 대덕산업단지의 미세먼지 농도가 대전시와 국가 기준치를 넘어 다른 지역보다 높게 조사됐다.
대전 대부분 지역에서도 대전시와 국가 기준치를 초과한 미세먼지 농도가 측정됐다.
대전충남녹색연합이 대기오염 측정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공단지역으로 분류된 대전 읍내동과 문평동의 지난해 미세먼지 측정값은 48㎍/㎥와 51㎍/㎥로 집계됐다.
40㎍/㎥인 대전시의 기준치와 50㎍/㎥ 정해진 국가 기준치를 넘어선 셈이다. 읍내동의 미세먼지 측정값은 지난 2014년 44㎍/㎥에서 48㎍/㎥로 상승했다.
문평동도 같은 기간 47㎍/㎥에서 51㎍/㎥로 측정값이 올랐다. 대전 다른 지역과 비교해서도 공단지역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다른 지역의 측정값을 살펴보면 도심지역으로 분류된 구성동과 노은동, 문창동, 성남동, 정림동, 둔산동 등의 미세먼지 농도는 38~48㎍/㎥로 조사됐다.
도로변으로 분류된 대흥동과 월평동도 40~43㎍/㎥ 집계됐다. 도로변으로 분류된 지역보다도 공단지역의 대기오염 정도가 더 심한 셈인데 녹색연합은 공단에서 이뤄지는 생산 공정과 에너지 산업 연소 등을 주원인으로 봤다.
또한 산업단지를 드나드는 노후 된 경유 차량도 대기오염 측정값을 높인 또 다른 원인으로 지목했다. 공단 지역 외 측정값을 세밀하게 들여다보면 대전에서 미세먼지를 직접 배출하는 가장 큰 원인은 도로이동 오염원으로 조사됐다.
대흥동과 월평동에 있는 도로변 측정망에서 집계된 미세먼지 측정값이 다른 도심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대흥동 도로변 측정망의 경우 2014년과 2015년 모두 대전에 있는 10개 측정망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2014년에서 지난해까지 3년 내내 대전시 연 기준치를 초과하기도 했다. 녹색연합은 "미세먼지 농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주요 사업장에 적용되는 배출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배출 허용 기준을 정한 조례를 통해 기준을 위반하는 업체에 대해 행정처분과 함께 부담금을 부과하기로 한 충청남도의 사례를 들어 대기오염과 관련된 배출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녹색연합은 "미세먼지 발생의 주원인으로 분석되는 도로이동 오염원인 자동차에 대한 미세먼지 감축 정책도 필요하다"며 "대형 유통매장과 빌딩 등 교통 수요를 유발하는 사업장에 부과하는 교통유발 부담금 제도를 활용하고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