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원내대표는 7일 국방부의 사드 보고 누락 문제와 관련, "미국과 비밀유지를 합의했다고 해서 국군 통수권자(대통령)에게 그것을 적용한다는 건 굉장히 큰 충격"이라면서 "이번 사태는 그런 면에서 안보농단 사태"라고 밝혔다.
우 원내대표는 오늘(7일) 오전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미국과 비밀유지를 합의했다고 해서 국군 통수권자인 대통령에게도 그걸 적용한다는 건 굉장히 큰 충격"이라며 "추가 조사가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낱낱이 밝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 "대한민국 국방부가 대한민국의 법이 정한 환경영향평가를 회피하기 위해서 부지 쪼개기를 했다는 것은 국민이 납득할 수 없을 것"이라면서 "본질이 국방부의 절차적 정당성 미흡인 만큼 이 문제는 한미동맹에 영향을 줄 문제도 아니고 또 주어서도 안 된다"고 말했다.
또 환경영향평가로 사드 배치 결정이 뒤집힐 수 있느냐는 질문에 "결과를 예단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고 밝혔다.
오늘 열리는 김이수 헌재소장, 김동연 기재부 장관,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의 청문회와 관련해 "야당이 청문회를 거치지 않은 후보에 대해 부적격 판단을 내린다는 건 반대를 위한 반대"라며 "판단은 국민이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관련, 그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무조건 낙마 공세는 안된다"면서 "지금까지 제기된 의혹은 청문회에서 충분히 소명 가능한 내용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또 청문 결과 보고서 채택 문제만 남은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에 대해 "청문회를 통해 의혹이 대부분 해소됐다"면서 "공정거래위원장으로 적격이라는 국민적 기대감이 높다"고 주장했다.
이 밖에 우 원내대표는 같은 당 추이매 대표가 문재인 대통령으로부터 취임 첫날 이후 전화를 받지 못했다는 보도와 관련, "대통령과 당 대표가 몇 번 통화했는지를 갖고 소통의 척도로 삼는 건 좀 부적절할 것 같다"면서 "당청간 소통은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다"고 말했다.
또 국회 차원의 여야정 협의체 구성 문제와 관련, "오늘 여야 원내 수석부대표가 만나 논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