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한–베 수교 33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과 베트남의 우정이 ‘빛’이라는 예술의 언어로 재해석된다.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과 한–베 수교 33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빛으로 잇는 우정, 북두칠성 아래의 두 나라 이야기’가 오는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국회의원회관 3층 로비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한–베의원친선협회와 주한 베트남 대사관이 공동 주최하고, 한...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사단법인 서귀포룸비니청소년선도봉사자회(대표 박은교)가 24일 남원중학교 3학년 학생 80명과 교사7명, 봉사자회원 8명 등 95명이 참여한 가운데 제주의 아픈 역사 바로알기 탐방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 프로그램은 일제강점기와 제주4·3의 비극이 고...

서울시가 동성애자들의 불건전한 행사인 퀴어축제와 관련해 예년과 다른 입장을 밝혔다. 학부모 단체는 조례에 따라 퀴어축제를 허용하지 말아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서울시는 “오는 7월 15일 서울광장에서 퀴어축제를 열 수 있게 해 달라”는 동성애자들의 요구에 대해 “불건전한 동성애 행사를 막아달라며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의견수렴 후 수리여부를 통보하겠다”고 답변한 것으로 30일 확인됐다. 지난 2년 간 서울시는 동성애자들의 서울광장 사용신청에 대해 별다른 반대 입장 없이 사용을 승인해 준 바 있다.

서울시는 최근 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에 보낸 ‘서울광장 사용수리 통보요청에 대한 회신’에서 “퀴어축제위가 2015∼2016년도 서울광장에서 개최한 퀴어축제와 관련해 시민 9만1000여명이 ‘서울시가 서울광장에서 불건전한 행사의 허가를 막고 책임 있는 업무를 해 달라’며 조례개정청구를 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금년에도 동일한 사유로 조례개정청구를 위한 주민서명이 진행되고 있다”면서 “사용수리에 대해서도 일부 시민이 민원을 제기하는 등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공문에서 서울시가 입장변화의 가능성을 내비친 부분은 ‘불건전한 행사’와 ‘시민 9만1000명이 제출한 조례개정청구’ ‘민원을 제기하는 등 논란 지속’ 문구다. 서울시가 이제는 퀴어축제를 반대하는 시민들의 저항을 인지하고 부담감을 갖게 됐음을 유추할 수 있는 대목이다.
‘서울광장의 사용 및 관리에 관한 조례’에 따르면 서울광장은 시민의 건강한 여가선용과 문화활동을 위한 공간이라고 나와 있다. 그러나 퀴어축제위 측은 행사를 여는 동안 술과 성기모양의 과자, 자위도구, 성행위 사진 등을 판매했다. 행사 때 동성애자들은 반나체로 광장을 활보했다. 참다못한 일부 시민은 2015년 퀴어축제 조직위원장을 상대로 고발장까지 제출했다.
주부 이신희(41·여)씨는 “지난해 퀴어축제를 막기 위해 서울광장의 사용을 신고제에서 허가제로 바꿔달라며 9만1000명의 서명을 받아 조례개정청구를 제출했다”며 “올해도 불건전한 행사를 막기 위해 조례개정청구 서명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다음 달 초 개최 예정인 열린광장운영시민위원회의 의견 수렴 후 수리여부를 결정한다. 광장운영위에는 이선우 한국방송통신대 교수와 유성희 YWCA 사무총장, 이명희(비례) 박호근(강동구) 남창진(송파구) 박운기(서대문구) 시의원 등 13명이 활동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자문역할을 할뿐 최종 결정권한은 박원순 서울시장에게 있다.
김지연 차세대바로세우기학부모연합 대표는 “조례에 따르면 박 시장은 서울광장을 시민의 건전한 문화 활동 공간으로 관리할 의무가 있다”면서 “2년간 불건전한 퀴어축제의 부작용이 명백하게 드러난 만큼 박 시장이 현명한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