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6일 세월호 유가족들을 만나 "늦었지만 정부를 대표해 머리숙여 사과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또 세월호 참사의 진실규명을 약속했다. 2014년 4월16일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이후 피해자 전체 가족을 대상으로 한 대통령의 첫 사과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 영빈관에서 세월호 참사 피해가족 207명이 참석한 가운데 면담을 갖고 "세월호를 늘 기억하고 있었다. 미습자들 수습이 끝나면 모셔야지 했는데,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 걸려서 수색작업을 하고 있는 중에 모시게 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세월호 선체 수색 작업 지연'에 대해 문 대통령은 "아직도 다섯 분이 소식이 없어서 정부도 애가 탄다. 아직 돌아오지 못한 미수습자들이 모두 가족 품으로 돌아올 수 있기를 간절히 기도하고 있다"며 "정부는 가족들의 여한이 없도록 마지막 한분을 찾아낼 때까지 최선을 다하겠다는 약속을 드린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세월호 참사에 대한 전임 정부의 실정을 짚었다. 그는 "도대체 왜 그렇게 어처구니없는 사고가 일어났던 것인지, 그 원인이 무엇인지 정부는 사고 후 대응에 왜 그렇게 무능하고 무책임했던 것인지, 인양에 그렇게 많은 시간이 걸린 이유는 무엇인지, 국민들은 지금도 잘 알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분명한 것은 그 원인이 무엇이든 정부는 참사를 막아내지 못했다는 것이다. 선체 침몰을 눈앞에서 뻔히 지켜보면서도 선체 안의 승객을 단 한명도 구조하지 못했을 정도로 대응에 있어서도 무능하고 무책임했다. 유가족들을 따듯하게 보듬어주지도 못했고 오히려 국민들을 편 가르면서 유가족들에게 더 큰 상처를 안겨주었다. 정부는 당연한 책무인 진실규명마저 회피하고 가로막는 비정한 모습을 보였다"고 비판했다.
문 대통령은 세월호 참사 3년 만에 전임 정부를 대신해 사과하며 진실규명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늦었지만 정부를 대표해서 머리숙여 사과와 위로의 말씀 드린다"며 "국민 한사람 한사람의 생명과 안전을 무엇보다 귀하게 여기는 나라다운 나라를 반드시 만들어서 세월호 희생이 반드시 헛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세월호의 진실규명을 위해서도 정부가 국회와 함께 최선을 다하겠다는 약속 드린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의 모두발언 뒤, 전명선 4·16 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세월호 특조위 재건'을 요구했다. 전 위원장은 "최근 정부 차원의 조사기구를 논의하며 노력해왔던 취지와 힘을 온전히 2기 특조위에 집중시켜 독립적이고 강력한 법적 권한을 가진 국가 차원의 조사기구로서, 2기 특조위가 진상을 제대로 밝혀나갈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협조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