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부보건소,‘11월 음주폐해 예방의 달’ 민·관 합동 캠페인 실시
제주시 서부보건소는 11월 음주폐해 예방의 달을 맞아 지난 24일 한림오일시장에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절주 실천 홍보 캠페인을 실시했다. ❍ 이번 행사는 음주로 인한 건강 피해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일상 속 절주 실천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한림파출소와 한수풀자원봉사단이 함께 민·관 합동으로 추진했다. ❍ 캠페인은 ▲절주...

내국인만으로 집계되는 용인시의 공식 인구가 지난 1일 기준으로 100만 명을 돌파, 본격적인 초대형 ‘밀리언시티’가 됐다. 지난해 8월 외국인을 포함한 총인구가 100만 명이 넘은 이후 13개월만이다.
이에 따라 용인시는 수원시(119만)?창원시(105만)?고양시(104만)에 이어 전국에서 4번째로 공식 인구 100만 명이 넘는 기초 지방자치단체가 됐다. 서울시 등 광역시를 포함한 전국 도시인구 순위는 11번째다.
용인시는 정부가 공식 인정하는 주민등록인구가 1일 100만 명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지난 2002년 50만 명을 넘어선 이후 15년 만에 인구가 두 배로 증가한 것이다. 이날 마감 기준 용인시의 총인구는 내국인 100만54명, 외국인 1만6,453명 등 101만6,507명이 됐다.
용인시 100만 번째 시민이 된 주인공은 이날 안산에서 기흥구 마북동으로 전입한 이서용 씨 가족이며, 100만1번째는 서울 우면동에서 동백동으로 전입한 고경일 씨 가족이다.
정찬민 용인시장은 이날 마북동 주민센터에서 이서용 씨 가족에게 꽃다발을 증정한데 이어 동백동 주민센터에서 고경일 씨 가족에게도 꽃다발을 증정하고 용인시민이 된 것을 축하했다.
용인시는 수지·기흥구 일대를 중심으로 주택건설이 집중되면서 최근 10년간 연평균 2.2%가 넘는 높은 수준의 인구증가율을 보였다.
올해 들어서도 이런 추세가 이어져 용인시에는 올해 하반기에 아파트만도 역북 도시개발사업 지구의 3개단지 3,142세대를 포함해 7개 단지 5,115세대의 입주가 진행 중이다. 이들 단지에만 1만3,800여명이 전입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특히 용인시의 투자유치 정책이 성과를 내면서 일자리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어 높은 수준의 인구증가율은 앞으로도 상당기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날 공식적으로 100만 대도시 반열에 들면서 용인시는 앞으로 ‘인구 100만 이상 대도시의 사무특례’를 적용받게 돼 자체 수행 사무와 함께 관련 조직도 늘어날 전망이다.
100만 대도시가 되면 ‘지방분권 및 지방행정체제개편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자체 지역개발 채권을 발행할 수 있는 권한을 비롯해 택지개발지구나 재정비촉진지구를 지정할 수 있고, 50층 이하에 연면적 20만㎡ 미만 건축물의 허가권을 갖는 등 9개 사무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용인시는 이같은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지난 상반기 조직개편을 통해 실·국 2개를 설치하고 3·4급 복수직급 1개를 신설해 대비하고 있다. 또 이날 공식 인구 100만 명이 됨에 따라 앞으로 제2부시장을 신설하고, 4급 직급 2개를 3·4급 복수직급으로 추가 상향조정하며, 의회사무국 내 의정담당관을 신설하는 등 조직을 확대할 예정이다.
용인시는 이같은 사무추가와 조직개편 등에 대비해 지난 2015년 10월 ‘100만 대도시준비 TF팀’을 설치하고 ‘대도시 준비 단계별 추진 로드맵’을 만드는 등 중장기 종합발전계획을 수립해 왔다.
또 장기적인 도시경쟁력 강화와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용인시정연구원’(가칭)을 설립키로 하고 행정안전부와 협의를 해왔다.
정찬민 시장은 이날 인구 100만 돌파를 축하하면서 “전국에서 4번째로 인구 100만 대도시에 진입한 것은 용인시 발전에 큰 이정표를 갖게 되는 의미를 지니는 것”이라며 “앞으로 100만 대도시에 걸맞게 자족 기반을 구축하고 제2의 도약을 위해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