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54) 전 법무부 장관이 자녀 입시비리와 사모펀드 투자 의혹 등 일가 의혹과 관련해 11일 검찰에 출석해 조사를 받았다. 지난달 21일 두 번째 소환 조사를 받은 뒤 20일 만이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부장 고형곤)는 이날 오전 9시 30분쯤부터 조 전 장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오후 6시까지 조사했다. 조 전 장관은 조서를 열람한 뒤 11시간 30분 만인 오후 8시쯤 귀가했다.
조 전 장관은 부인인 정경심(57·구속) 동양대 교수와 함께 자녀들의 서울대 공익인권법센터 인턴증명서 허위 작성 등 입시비리에 관여한 의혹과 동생이 구속돼 재판에 넘겨진 웅동학원 위장 소송 의혹 등을 받고 있다. 또 정 교수의 WFM 주식 차명 투자 혐의와 사모펀드 운용 현황 보고서 허위 작성 등의 의혹에도 조 전 장관이 관여했는지가 핵심 쟁점으로 꼽힌다.
조 전 장관은 지난달 두 차례에 걸쳐 검찰에 나와 총 17시간에 걸쳐 조사를 받았지만 검찰의 모든 질문에 묵비권을 행사하며 답하지 않았다. 검찰은 이날 3차 조사를 마친 뒤 “추가 소환 조사 여부를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검찰은 전날 조 전 장관 부인 정경심(57·구속) 교수에 대해 요청한 공소장 변경 신청을 법원에서 거절당한 만큼 조 전 장관의 공소장 작성 등에 만전을 기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검찰은 정 교수가 자녀 입시에 활용하려고 동양대 총장 명의 표창장을 위조한 시점을 2012년 9월7일이라고 특정해 지난 9월 사문서위조 혐의로 기소했다 지난달 실제 위조 시점이 2013년 6월이라며 재판부에 이를 반영한 공소장을 새로 제출하려다 거절당한 바 있다.
검찰은 조 전 장관은 일가 의혹 외에도 유재수(55·구속) 전 부산시 경제부시장의 감찰 무마 의혹과 관련해 소환 조사 일정을 조율 중인 것으로도 전해졌다. 또 김기현 전 울산시장에 대한 청와대 하명수사 의혹과 관련해서도 조 전 장관의 개입 여부를 수사하고 있다.
한편 조 전 장관은 지난 9일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무과에 2020학년도 1학기에 ‘형사판례 특수연구’ 강의를 개설을 신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내년 2월 3명 이상이 수강신청을 하면 강의는 자동 개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