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감염자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는 북한에서도 평안도와 강원도에서만 7000여 명을 '의학적 감시 대상자'로 선정해 격리하고 감시 중인 것으로 보인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인 노동신문은 1일 '비루스(바이러스) 전염병을 막기 위한 선전과 방역사업 강도 높이 전개' 제목으로 쓴 기사에서 "평안남도 도내 2420여 명의 의학적 감시 대상자들이 아무런 불편도 없이 검병검진 사업에 주인답게 참가하도록 하고 있다"며 "1500여 명의 의학적 감시 대상자들이 있는 강원도에서도 이들을 위한 후방물자 보장에 힘을 넣고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 24일 조선중앙방송은 평안북도에 "3000여 명의 의학적 감시 대상자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를 종합하면, 평안남도와 강원도에서만 의학적 감시 대상자가 7000여 명에 달하는 셈이다.
신문은 "의학적 감시 대상자들 속에서 심장병, 고혈압, 기관지염 등을 앓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의학적 관찰을 특별히 강화하는 한편 치료도 적극 따라 세우고 있다"고 전했다.
북한 매체들은 '의학적 감시 대상자'의 개념은 명확히 하지 않았지만 이들에게 땔감, 식료품 등을 보내 생활 보장 대책을 '빈틈없게' 하고 있다는 주장으로 볼 때, 당국의 감시 하에 이동제한 조처 등이 내려진 일종의 '자가 격리자'들로 추정된다.
한편, 북한은 한 달 전부터 육·해·공 국경 차단 등 방역 대책을 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29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확대회의를 주재해 코로나19 문제를 논의하며 "국가적인 초특급방역조치의 더욱 엄격한 실시"를 강조했다. 그러면서 북한 당국은 '코로나19 확진자 0명'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