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0'을 주장하고 있는 북한이 코로나19 방역 단계를 최고 수준인 '초특급'으로 격상했다.
조선중앙방송은 2일 "초특급 비상방역조치들을 복원하고 비상방역 규율과 질서를 철저히 엄수하도록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북한은 코로나19를 계기로 '비상방역법'을 제정하고 감염병 전파 속도와 위험성에 따라 방역 등급을 1급ㆍ특급ㆍ초특급 세 단계로 분류했다. 초특급은 지상ㆍ해상ㆍ공중을 비롯한 모든 공간을 봉쇄하고 모임과 학업을 중지하거나 국내 지역을 완전히 봉쇄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북한은 이번 격상으로 일부 상점이나 음식점, 목욕탕 등의 영업이 중지되고 이동에도 제한이 걸렸다. 업무도 화상회의 등 비대면 수단을 활용하도록 했다.
북한이 다시금 초특급 방역 조치를 시행하게 된 것은 겨울철에 들어서면서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재유행 우려가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방송은 "지역별 인원 이동을 극력 제한하고 일부 봉사단위들의 활동을 잠정중단 했다"며 "모든 단위에서 화상회의체계와 구내 방송망을 완비하고, 출장 여행을 최대한 줄여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지상과 공중, 해상을 막론하고 국경을 걸어 잠그고 국내로 물자가 들어오는 국경 다리와 항만에는 전면소독시설이 설치됐다.
한편, 최근 북한 내 코로나19 검사 인원도 늘어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에서는 지난달 25일까지 총 1만6천914명이 코로나19 검사를 받았고 이 가운데 약 5천명은 최근 한 달 새 검사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격리 인원은 706명이며, 올해 누적 코로나19 감염자는 3만2천843명이다.
에드윈 살바도르 WHO 평양사무소장도 미국 자유아시아방송에 "북한 정부가 최근 몇 주간 코로나19 검사를 일주일에 평균 1천600회 시행하고 있다"며 "겨울이 시작되면서 더 많은 사람이 독감 의심 증상이나 중증급성호흡기 감염증 증상을 보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