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미얀마 특사가 3일(현지시간) 미얀마에서 쿠데카가 발발한 이후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AFP·AP 통신 등에 따르면 크리스틴 슈래너 버기너 유엔 미얀마 특사는 기자회견에서 "오늘은 2월 1일 쿠데타 발생 이후 가장 많은 피를 흘린 날"이라면서 "이제 쿠데타 이후 총 사망자가 50명을 넘었다"고 말했다.
이날 미얀마 군부는 반쿠데타 시위대를 향해 실탄을 발포하며 강경 진압에 나섰다. 이에 따라 미얀마 전역에서 사망자가 속출했고, 34~38명이 사망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28일 18명이 사망한 '피의 일요일'보다도 많은 사망자다.
통신은 버기너 특사는 "미얀마에서 진짜 전쟁이 벌어질 수도 있다"고 염려했다고 전했다.
한편, 미국은 이와 관련해 "끔찍하다"라는 입장을 밝히며 국제사회가 한목소리로 미얀마 군정을 규탄할 것을 촉구했다.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언론 브리핑에서 "문민정부 복귀를 평화적으로 요구하는 버마(미얀마의 옛 이름) 국민에게 자행된 폭력을 목격해 간담이 서늘하고 끔찍하다"라고 비판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자국민을 향한 미얀마군의 잔혹한 폭력을 모든 나라가 한목소리로 규탄할 것을 요구한다"라면서 미국은 미얀마 군정을 겨냥한 추가 제재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미얀마군의 '뒷배'로 여겨지는 중국을 향해서도 유혈 진압을 막기 위해 더 적극적으로 개입할 것을 촉구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중국은 버마에서, 현지 군정에 대해 영향력을 갖고 있다"면서 "그 영향력을 버마 국민의 이익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건설적으로 활용할 것을 우리는 촉구해 왔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