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市, 2020년까지 1300억 투입 생태 복원
시멘트로 덧씌워져 생명력을 잃고 있는 대전 도심 하천들이 생태 하천으로 거듭난다.
대전시는 지난 14일 갑천과 대전천, 유등천 등 대전 도심 3대 하천(총연장 77.5㎞)에 대한 ‘생태하천조성 용역보고회’를 갖고 2020년까지 1298억원을 투입, 생태계 복원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시는 용역 내용에 따라 현재 콘크리트 블록으로 생태계와 단절된 3대 하천 가운데 갑천과 유등천 합류점, 대전천과 갑천 합류점 등지의 인공 구조물을 걷어내고 습지와 수림대를 조성, 생태계를 되살린다는 계획이다.
특히 주요 지점에는 습지 생태원과 여울 및 정화식물로 조성된 수림대를 배치해 생태 거점화하는 방안을 추진할 방침이다.
또 좌우 대칭형의 직선으로 일관된 하천 제방 일부를 슈퍼제방으로 전환, 경사를 완화하고 산책로와 자갈밭 등을 조성함으로써 수생식물과 물고기의 서식 기반을 확충하기로 했다.
시는 또 하천 수질 개선을 위해 하루 90만t 규모의 원촌동 하수종말처리장에 고도정수처리 시설을 2006년까지 조기에 완공하고 갑천 하상에 대한 퇴적물 준설작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특히 유수량 부족에 다른 건천화로 인해 생태계 복원 및 수질유지(2급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전천과 유등천에 갑천의 여유 수량을 역류시켜 유지용수로 사용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키로 했다.
시는 1단계로 엑스포공원 앞 갑천라버댐에서 대전천 상류인 중구 옥계동에 12㎞의 관로와 펌프장을 설치, 갈수기에 하루 7만t을 공급할 방침이다. 또 원촌동 하수처리장의 고도정수처리시설이 완공되는 대로 중구 산성동 호남선 철교까지 2단계로 하루 8만t을 공급할 수 있는 10.2㎞의 관로를 매설할 예정이다.
시는 총 175억원이 투입되는 이 사업이 완공되면 대전시내 3대 하천의 자정능력이 크게 높아져 늘 물이 흐르는 생태하천으로 복원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는 또 대전천의 생태계 파괴와 홍수위험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중구 원동의 홍명상가와 동방마트 건물을 철거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대전천 위에 인공구조물을 설치해 건립된 두 건물은 비가 많이 내릴 경우 물의 흐름을 방해, 인근 도심상가의 침수피해는 물론 건물 붕괴위험이 커 철거여론이 비등한 곳이다.
윤광길 건설방재과장은 “하천 개발 초기 경제성을 생각해 시멘트 블록형 정비에 치중하다 보니 생태계가 파손되는 부작용이 초래됐다”며 “이번 사업은 하천의 생명력을 되살리고 생활에 편리한 자연형 하천으로 탈바꿈시키는 데 중점을 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용역조사 결과 갑천 등 3대 하천에는 갈겨니 끄리 등 총 22종의 어류와 10종의 양서파충류, 쇠백로, 직박구리 등 23종의 조류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서곤충도 밀잠자리붙이 등 71종, 식물은 부들·마름·물억새 등 총 364종류가 자라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