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외무성은 미국을 향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인도적 지원을 빌미로 '내정 간섭'을 하려 들지 말라고 비판했다.
외무성은 11일 강현철 국제경제·기술교류촉진협회 상급연구사 명의의 글을 싣고 "많은 나라들은 미국의 '원조'와 '인도주의 지원'에 많은 기대를 걸었다가 쓰디쓴 맛을 보았다"면서 "미국이 인도주의 지원 문제를 거론할 때마다 외우곤 하는 인권 문제는 다른 나라에 대한 내정간섭을 실현하기 위한 구실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강 연구사는 코로나19로 인해 세계는 경제난에 직면해 있는데 "인류의 이러한 불행과 고통을 불순한 정치적 목적을 실현하는데 악용하려는 움직임"들이 나타나 국제사회의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의 대외원조법, 상호안전보장법 등을 들어 미국이 다른 나라에 어떤 형태의 지원을 하든 자신들의 대외 정책에 '복종'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시리아, 팔레스타인, 캄보디아 등 미국이 경제적 지원을 했다가 취소한 전례를 들었다.
이어 "국제문제분석가들은 미국이 '인도주의 지원' 문제를 거론할 때마다 곧잘 외워대군 하는 '인권문제'도 본질에 있어서는 다른 나라들에 대한 내정간섭을 실현하기 위한 구실에 불과하다고 평가하고 있다"면서 "이것은 미국이 '인도주의 지원'을 '인권문제'와 연관시키고 있는 속심이 주권국가들에 대한 압박을 합법화하고 저들의 불순한 정책적 기도를 실현하려는데 있다"라고 비난했다.
이는 북한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공급 등 미국의 대북 인도적 지원 가능성이 언급되는 가운데, 미국이 북한 인권 문제를 건드리는 한 각종 인도적 지원을 거부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코백스(COVAX)는 지난 3월 북한에 백신 199만2000회분을 배정하고 이 가운데 170만4000회분을 지난 5월까지 전달할 계획이었지만 공급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북한은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의 부작용을 우려해 코백스에 다른 백신 지원 가능성을 타진했으며 중국·러시아 백신도 불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미국이 '백신외교'로 북한과 대화에 나설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관측이 나왔다. 미 국무부 포터 부대변인은 미국의 북한 백신 지원에 대해 직접적인 답변을 하지 않았지만 "바이든 행정부는 백신외교에서 강력한 지도자의 지위를 취해왔다는 점을 강조한다"는 원칙적인 답변을 내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