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한국 청년들 대부분은 중국을 싫어한다'는 취지로 주장한 것을 두고 여당이 반발하고 나섰다. 복잡한 국제관계를 지나치게 단순화한 발언이라는 지적이다.
어느 분야보다 절제된 언어가 필요한 외교 사안에서 근거도 불분명한 사례를 든 것은 대선후보로서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나온다.
윤 후보는 오늘 서울 영등포구 한 호텔에서 열린 주한미국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간담회에 참석해 “현 정부 들어 중국 편향 정책을 들고 미국, 중국 사이에서 중간자 역할을 한다고 했지만, 결과는 나쁜 것으로 끝났다”고 말했다. “중국 청년들도 대부분 한국을 싫어한다”고도 했다. 이어 “과거에는 그렇지 않았다. 한국이 한미일의 튼튼한 공조에 기반해 중국을 상대했을 때는 서로 굉장히 호감을 갖고 좋은 결과를 냈다”고 주장했다.
그는 ‘편중 정책 때문에 반중 감정이 높아졌다는 말이냐’는 취재진 질문에 “국민 감정이 정부의 특정 정책 갖고 되는 문제가 아니라는 뜻”이라며 “결국 원칙 대 원칙으로 돌아가는 것이 소통과 관계를 좋게 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가 나선다고 특정 국가에 대한 국민 정서를 바꾸기는 쉽지 않다는 의미로 읽힌다.
더불어민주당은 즉각 윤 후보를 맹공했다. 민주당은 강선아 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 명의의 논평에서 “1일 1망언도 부족해 이제 국경을 넘는 망언까지 하는 것이냐”며 “외교 관계를 ‘누가 누구를 싫어한다’는 식의 수준 낮은 감상평으로 단순화하는 걸 보니 아연실색하지 않을 수 없다”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제일 중요한 것은 어느 국가든 자기들만의 헌법 이념, 국가가 추구하는 가치가 서로 공통적인 국가들끼리 안보 등 비밀을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이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서로 정체성을 분명히 하는 가운데서 필요한 협력을 원활히 해 나가면 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