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발생 이후 각 지방자치단체가 발송하던 신규 확진자 통계 재난문자가 3년 만에 사라진다.
행정안전부는 지난달 18일 '단순한 확진자 수는 재난문자로 발송하지 말라'고 권고하는 내용의 공문을 전국 시·도에 보냈다.
행안부는 공문에서 확진자 수 위주의 재난문자 반복 송출로 이용자가 피로감을 느끼는 데다 재난문자의 효과도 떨어질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방역 조치 관련 변경사항이나 특이사항 등 시급성과 필요성이 높은 내용 위주로 재난문자를 보내는 것이 좋다고 권고했다.
행안부 관계자는 "최근 재난 문자가 너무 많다는 의견들이 있었다면서 그런 부분들을 고려해서 조치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여러 지자체가 지난달 말 이후 행안부 권고를 받아들여 확진자 수 재난문자 발송을 잇따라 중단하고 있다.
행안부 집계에 따르면 2020∼2022년 3년간 전국 지자체가 발송한 코로나 관련 재난문자는 14만 5천여 건에 이릅니다. 연간 5만 건 가까운 수치다.
행안부는 이와 함께 재난문자 발송 체계를 전반적으로 손질해 이달 말까지 개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우선 심야 시간 지진 긴급재난문자 알림의 음량을 20∼30 데시벨 수준으로 낮추거나, 개인별로 재난문자 알림 음량을 조절하는 방안 등을 검토 중이다.
또 재난문자 발송 주체를 행안부 장관과 지자체장, 기상청장 외에 재난관리에 책임이 있는 기관의 장까지 확대하는 방안도 논의하고 있다.
이와 함께 연구개발을 통해 아동 실종사건 및 발견 경보 전용의 '앰버 경보'(Amber Alert) 채널도 마련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