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세계 곳곳에서 현지 경찰부대를 조직해 지휘하고 있다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미국 정부가 수사당국의 부패가 너무 심각해 신뢰할 수 없다고 보는 개발도상국 10여 곳에서 현지인으로 별도 경찰부대를 운영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해당국에 주재하는 미국 대사관이 직접 현지 수사요원들을 골라 관련 협정을 체결한 뒤 미국 이익에 부합하는 작전에 투입하는 방식이다.
미국 국무부는 페루부터 필리핀까지 16개 현지 경찰조직을 심사해 정부간 협정을 체결했다.
어류·야생동물관리국은 우간다와 나이지리아에서 현지 경찰조직을 지휘하고 있다.
케냐에서는 연방수사국(FBI)과 국토안보부, 어류·야생동물관리국과 마약단속국 등 다수 연방기관이 현지 수사당국에서 요원들을 심사해 임무에 투입하고 있다.
이들은 마약 헤로인 밀수부터 여권 위조, 인신매매, 미국인에 대한 범죄까지 다룬다.
이 같은 사법공조는 1980년대 마약단속국이 콜롬비아, 볼리비아, 페루를 상대로 이른바 '코카인 전쟁'을 치르면서 관행으로 굳어졌다.
하지만, 이 같은 미국의 현지 경찰 지휘를 두고 해당국에서는 찬반 의견이 교차하고 있다.
케냐 범죄수사국은 "공조와 제휴의 이익은 엄청나다"며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반대론자들은 내정간섭이나 주권침해라는 입장이다.
천산갑 밀매단의 변호인인 무리기 카만데는 "자치권이 없다"며 "기본적으로 외국 지령에 따라 일하는데 이건 아니라고 본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