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한–베 수교 33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과 베트남의 우정이 ‘빛’이라는 예술의 언어로 재해석된다.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과 한–베 수교 33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빛으로 잇는 우정, 북두칠성 아래의 두 나라 이야기’가 오는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국회의원회관 3층 로비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한–베의원친선협회와 주한 베트남 대사관이 공동 주최하고, 한...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사단법인 서귀포룸비니청소년선도봉사자회(대표 박은교)가 24일 남원중학교 3학년 학생 80명과 교사7명, 봉사자회원 8명 등 95명이 참여한 가운데 제주의 아픈 역사 바로알기 탐방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 프로그램은 일제강점기와 제주4·3의 비극이 고...
▲ 사진=KBS NEWS 영상 캡처미국은 이번 사태 근원인 하마스와 배후로 지목된 이란에 대해 고립 외교전에 나섰다.
안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이 마무드 압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과 회동했다.
미국이 택한 팔레스타인 현안 논의 대상은 하마스가 아니라는 걸 상징하는 행보다.
블링컨 장관은 앞서 이스라엘을 방문한 자리에서도 이 같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블링컨 장관은 사우디를 비롯한 다섯 군데 아랍 국가를 잇달아 방문한다.
하마스 고립에 대한 확고한 입장을 전하면서 확전 방지 대책 등을 논의하기 위해서다.
미국은 이번 무력 충돌의 배후로 지목된 이란에 대해서도 8조 원 규모 원유수출 대금을 다시 동결했다.
블링컨 장관에 이어 이스라엘을 찾은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도 무기 지원에 '조건이 없다'고 밝혔다.
과도한 무력 사용을 우려하는 서방 일각의 목소리에 이스라엘 전폭 지지로 답한 것이다.
다만, 민간인 대피를 위한 인도주의 통로를 관련국과 협의 중이라는 게 백악관 설명이다.
긴박한 중동 정세에 대응하는 미국의 대외정책이 봉쇄와 응징엔 신속한 반면, 민간인 피해 대책에선 상대적으로 더딘 진행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