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한–베 수교 33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과 베트남의 우정이 ‘빛’이라는 예술의 언어로 재해석된다.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과 한–베 수교 33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빛으로 잇는 우정, 북두칠성 아래의 두 나라 이야기’가 오는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국회의원회관 3층 로비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한–베의원친선협회와 주한 베트남 대사관이 공동 주최하고, 한...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사단법인 서귀포룸비니청소년선도봉사자회(대표 박은교)가 24일 남원중학교 3학년 학생 80명과 교사7명, 봉사자회원 8명 등 95명이 참여한 가운데 제주의 아픈 역사 바로알기 탐방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 프로그램은 일제강점기와 제주4·3의 비극이 고...
▲ 사진=KBS NEWS 영상 캡처열흘 남짓 앞으로 다가온 미국과의 관세 협상 시한.
당장 방미 협상에 나서야 하는 산업부 장관 입에선 우려부터 나왔다.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소고기와 쌀, 사과, 유전자 변형, LMO 감자 등에 대한 추가 개방을 강하게 요구하는 미국.
"농산물도 전략적 판단을 해야 한다"며 "민감한 부분은 지키되 협상 전체 틀에서 고려해야 한다"는 산업부 입장이 나온 이후, 농민단체 반발이 거세다.
미국 기업 구글이 요구하는 5배 정밀지도 데이터와 빅테크 규제 해제 등이 거론되는데, 디지털 주권이 걸린 문제다.
수백조 원 규모 대미 투자 펀드 조성을 요구한다는 말도 나온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은 많이 투자해달라는 미국의 메시지는 분명해 보인다면서도, 정확한 의도를 더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많은 요구에 비해 미국은 한국 요구를 듣는 데는 인색한 상황.
정부는 관계 부처 협의를 통해 우리 측 입장을 정밀하게 다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