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부 도정공장서 원산지표시 위반사례 적발 양곡명예감시원 확대 등
도내 수입쌀의 부정유통을 방지하기 위한 단속활동이 대폭 강화된다. 27일 전남도에 따르면 최근 도내 수입쌀 유통실태를 점검한 결과, 일부 도정공장에서 중국산과 국내산 쌀을 혼합해 국내산으로 판매하는 등 원산지 표시 위반사례가 적발됐다. 도는 이에 따라, 시중 수입쌀의 부정유통을 근원적으로 차단해 나가기로 하고 양곡명예감시원, 농민단체, 소비자단체 등 민간단체와 농산물품질관리원, 시군, 읍면동을 연계하는 민관 합동 단속체제를 구축키로 했다. 아울러, 양곡명예감시원을 현재 50명에서 이달 말까지 100명으로 늘려 위촉 운영하는 한편 도와 시군의 양곡관리담당 공무원과 읍면동 공무원 등 400여명에 대해 양곡단속 증표를 일제히 재정비 발급해 줄 계획이다. 도는 이와 함께, 정기 및 취약시기에 부정유통 우려가 높은 중소규모 양곡도정업자, 가공용쌀 대량 공급업체 등 부정유통 소지가 많은 취약 업체를 중심으로 특별단속을 실시, 수입쌀 불법유통을 차단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매분기말에 시군과 농산물품질관리원, 명예감시원과 합동으로 정기 지도단속을 실시하고, 수입쌀 대량공매시기, 가공용쌀 공급시기 등 취약시기에도 단속을 펴 나갈 계획이다. 이와 병행해 시군별로도 양곡 부정유통 우려가 높은 취약업체에 대해 매월 1회이상 정기 또는 불시단속을 실시해 나가게 된다. 특히, 도는 시판용 수입쌀을 국산쌀 포장재에 담아 원산지를 국산으로 둔갑해 국산보다 저렴하게 판매하거나 시판용 수입쌀포장재를 도용?제작해 불법 매입한 저가의 가공용 수입쌀을 재포장 후 시판용 수입쌀로 둔갑 판매하는 행위 등에 집중 단속할 방침이다. 또, 시판용 수입쌀이나 가공용 수입쌀을 대형 포장재(40㎏,pp대)에 담아 원산지표시없이 국산으로 위장 판매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입쌀을 부정유통시킬 우려가 많다고 보고 있다. 박래복 전남도 농산물유통과장은 “앞으로 도내 도정공장, 가공용쌀 공급업체 종사자 등에 대해서는 수입쌀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부정유통시 받을 불이익에 대한 교육을 실시해 우리 쌀의 이미지가 흐려지지 않도록 전력을 쏟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