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산호와 인근 주요 지천에 2천톤 이상의 쓰레기 산재
수중 쓰레기 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영산호와 인근 주요 지천의 정화를 위해 국가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전남도에 따르면 현재 영산호와 인근 주요 지천에는 2000톤 이상의 폐삼각망과 수중 쓰레기 등이 산재돼 있고 이를 수거키 위해 앞으로도 3년 이상의 기간과 막대한 사업비가 소요될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특히, 국가 하천을 관리하고 있는 환경부나, 건설교통부, 농림부 등에서는 이에 대한 뚜렷한 대책을 내놓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도는 우선적으로 영산강에 환경정화선을 투입해 정화작업을 하고 있는 형편인데 이에 대한 국가차원의 대책마련이 조속히 이뤄져야 할 상황에 있다. 도는 최근 들어서도 지난 7일부터 영암군 서호면, 시종면의 영암천 일원에서 민간 환경단체와 함께 대대적으로 정화작업을 실시 중에 있다. 특히, 이번 정화작업은 영산호에 불법으로 설치돼 방치되고 있는 삼각망이 우수기에 하천의 흐름을 방해하고 물속에 가라앉아 부패됨으로써 영산강 수질오염을 야기시키고 있는데 따른 것. 오는 18일까지 실시될 이번 정화작업은 도에서 운영중인 57톤급의 영산강환경정화선과 함께 민간환경단체인 영산강사랑운동본부가 참여해 100톤 정도의 불법 삼각망을 제거하게 된다. 도는 지난해에도 민간환경단체 등과 무안군 삼향면의 남창천 일원 등을 대상으로 두 차례의 대대적인 정화 작업을 실시해 170여톤을 제거하는 등 지금까지 모두 500여톤의 수중쓰레기를 수거했다. 또, 도는 지난 3월 한 달간 나주시와 영암군, 무안군 등 영산강 주변 지역민들의 영산강 수질개선을 위한 의식 전환을 위해 영산강 환경정화선에서 수거된 불법 삼각망과 수중쓰레기 수거 사진 전시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정종국 전남도 수질개선과장은 “이번 폐어망 수거 후에도 관계기관 및 민간 환경단체 등과 합동으로 불법어로 행위에 대한 감시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불법 수질오염 행위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특히, 중앙 정부에 관련 예산의 지원 등을 촉구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