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안보위기 상황의 해법을 논의하기 위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긴급회의가 아무런 결론도 내리지 못한 채 종료됐다.
안보리는 19일(현지시간) 오전 긴급회의를 시작해 8시간 30분동안 난상토론을 거듭했지만 미국을 비롯한 서방 측과 러시아, 중국이 팽팽한 입장차이로 맞서면서 결국 어떤 합의도 이루지 못한 채 끝이 났다.
이날 회의 시작에 앞서 이번 회의 소집을 요구한 러시아는 북한의 연평도 도발에 대한 표현 없이 남북한 양측에 "최대한의 자제"를 촉구하면서 한반도 상황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유엔 사무총장이 남북한에 특사를 파견하도록 하자는 내용의 성명 초안을 제출했다.
그러나 러시아 측 성명 초안에 대한 논의과정에서 미국, 영국, 프랑스 등은 한반도 위기의 근본 원인인 북한의 연평도 공격을 비난하는 내용이 포함되지 않은 성명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특히 15개 이사국 가운데 중국과 러시아를 제외하고 터키, 레바논 등 대부분의 비상임 이사국들도 서방 측 입장에 동조했다.
여기에 상임 이사국인 영국은 러시아의 초안과는 별도로 북한의 11월 23일 연평도 공격을 강력히 규탄한다는 내용의 초안을 회람시키기도 했다.
이에 러시아는 '연평도'를 삭제한 채 '11월 23일 포격을 규탄한다'는 내용으로 최종 수정안을 다시 회람했지만 중국이 북한을 '규탄한다'는 문구는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다며 반대입장을 고수해 결국 만장일치 성명 채택은 이뤄지지 못했다.
이날 안보리 논의 과정에서는 또 한국과 북한 대표가 당사국 자격으로 비공개 회의에 참석해 서로의 입장을 개진하는 기회도 마련됐다.
한국의 박인국 유엔대사는 "북한의 천안함 공격과 연평도 포격은 한국에 대한 명백한 도발행위"라면서 "이를 규탄하지 않는 성명 채택은 용납될 수 없다"는 우리 정부의 입장을 개진했다.
이에 대해 신선호 북한 대사는 "서해 5도는 북한 영토이며, NLL(북방한계선)은 일방적으로 그어진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한국이 사격훈련을 강행할 경우 보복을 가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긴급회의를 마친 이번달 안보리 순회의장국인 미국의 수전 라이스 유엔대사는 "북한의 천안함 공격과 연평도 포격을 강력하게 규탄했으며 한국의 사격훈련은 자위권 차원의 정당한 권리라는 입장을 밝혔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북한의 공격들은 '정당한 이유가 없는 침략행위'라고 강도높게 비난했다.
라이스 대사는 다만 "안보리 안에 한반도 문제를 둘러싼 이견이 해소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해 한반도 상황과 관련한 안보리 논의가 이른 시일 안에 진전되기는 사실상 어려울 것이라는 점을 시사했다.
반면 비탈리 추르킨 유엔주재 러시아 대사는 성명 채택이 무산된 뒤 가진 기자회견에서 한국이 연평도 사격훈련을 실시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거듭 표명했다.
그는 또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특사 파견에 대해 많은 회원국이 지지입장을 밝혔다고 말해 반 총장이 한반도 위기 상황에서 모종의 역할을 할 가능성도 예상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이날 안보리 회의에서는 반 총장이 올해 초 평양에 파견했던 고위급 특사 린 파스코 정무담당 사무차장이 한반도 상황과 관련한 브리핑을 통해 "북한의 연평도 공격은 한국전 이후 가장 큰 공격행위 중 하나이며, 지난 3월 천안함 사건과 관련해서도 안보리는 북한의 공격 행위라는 점을 명시했다"고 강조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