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년간 1400억원 지원…첨단 e-러닝 교실 갖춰
교육여건이 열악한 면 소재 초·중학교 110곳이 전원학교로 지정돼 3년 동안 약 1400억원이 지원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이 같은 내용의 ‘농산어촌 전원학교 육성사업 추진계획’을 2일 발표했다.
‘농산어촌 전원학교’란 농산어촌 소재 소규모 초ㆍ중학교 중 자연친화적 환경과 e-러닝 첨단시설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영어 등 우수 공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자율학교로서 농산어촌의 미래발전을 견인하는 지속가능한 모델학교를 말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올해 학생 수 61~200명 규모인 초·중학교 1천 83곳 가운데 110곳(10%)을 전원학교로 선정, A·B·C 3개 유형으로 나눠 3년 동안 1393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시설과 운영 프로그램이 종합 지원되는 A유형 학교(55곳)에는 2년 동안 교당 연 10~20억원이 지원된다. 시설비 중심으로 지원되는 B유형 학교(33곳)는 2년간 교당 연 5~10억원이, 프로그램 중심으로 지원되는 C유형 학교(22곳)는 3년간 교당 연 1~2억원이 각각 지원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전원학교의 80%(88곳)를 도교육청별로 학교수에 비례해 균등배분하되, 나머지 20%(22곳)는 전국 경쟁을 통해 우수학교에 배정할 계획이다.
도교육청에서 배정된 예산 범위 내에서 이달 중 1차 평가를 통해 1.2배수를 추천하면 교과부가 다음달초 최종 대상학교를 선정하게 된다.
선정된 모든 학교는 자연체험 학습장, 생태연못, 산책로, 잔디운동장 등 자연친화적 시설과 전자칠판, 디지털교과서, IPTV 등 첨단 e-러닝 교실을 갖추게 된다.
또 수준별 영어학습을 비롯하여 체험중심 교육과정, 독서ㆍ인성교육, 학력증진 프로그램 등 정규교육과정에서의 특색 있는 프로그램과 다양한 방과후 교육 프로그램, 도농교류 프로그램 등을 운영한다.
아울러 교장공모제, 교사공모제를 통해 역량 있는 교원을 충원하고, 학교교육이나 지역주민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ㆍ지원하기 위한 인력도 지원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또 학교 내 지역주민의 교육 및 문화 활동 공간으로 ‘지역사회교육센터’를 설치,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주민의 학교운영에 대한 참여 확대 등 지역사회와 학교간 연계체제를 구축할 방침이다.
교육과학기술부부는 전원학교에 대해 자율학교 지정, 교원 순환보직제 개선, 가산점 부여, 사택 현대화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 성공적인 정착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내년 하반기 성과평가를 거쳐 읍 단위까지 추가 확대할 지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다.
교육과학기술부는 “그 동안 교육여건이 악화된 소규모 학교에 대한 통폐합 정책은 있었지만 정작 이를 예방하고 육성하려는 정책은 미흡했다”며 “전원학교가 학생이 돌아오는 농산어촌 학교의 성공모델로 정착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