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년 뒤 수급불균형VS주택부족·집값불안 우려
경기침체와 부동시장의 급랭으로 주택경기 침체가 장기화 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주택건설 허가를 받은 실적이 20년만에 최저수준으로 나타났다. 9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지난 1월 전국에서 건축 허가를 받은 건축물의 연면적은 449만㎡로 집계돼 작년 1월보다 48.4%나 줄었다.주택건설업체들은 미분양주택이 16만가구에 이르는 등 주택경기가 살아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짓는 게 오히려 손해"라는 판단이 확산되면서 주택건설 허가를 받은 실적이 20년 전으로 수준으로 후퇴한 것이다. 용도별로 보면 주거용이 90만㎡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63.2%줄어 천9백89년 1월 이후 최저 면적을 기록 이는 외환위기 직후였던 천9백98년 10월 17.5% 적은 수치다. 실제 착공 실적도 3백64만3천㎡로 작년 1월보다 38.5% 떨어져 주거용 건축물의 경우 통계 이용 가능한 2000년 이후 최저다. 1월 건축허가실적을 용도별로 보면 주거용이 90만㎡, 상업용 106만8천㎡, 공업용 96만5천㎡로 작년 동기와 비교할 때 각각 63.2%, 53.4%, 38.1% 감소했다.특히 주거용은 1989년 1월(89만9천㎡) 이후 최악의 성적표였다. 외환위기 직후 가장 적었던 1998년10월(108만5천㎡)보다 17.5% 감소했다.이처럼 1월의 주택건설 허가와 착공이 부진한 것은 주택경기 침체가 장기화 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작년 하반기에는 금융권에서 건설업체에 대한 구조조정에까지 착수하면서 주택건설업체들의 투자의욕이 바닥을 향해 추락하고 있다.따라서 주택건설 인허가와 착공이 부진 2-3년 뒤 공급 부족으로 현상이 나타나 주택 수급불균형에 따른 집값불안이 우려된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