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충북도의회 임시회 대집행부 질문 제한조치에 반발 -
▲ 새누리당 충북도의원(김종필 남)과 김양희의원이 도의원 현관앞에서 농성에 들어갔다.(사진제공=충북도의회) | |
충북도의회 324회 임시회에서의 대집행부 질문 제한조치에 반발하고 있는 새누리당 소속 충북도의원 2명이 김광수 도의장의 사과와 함께 사퇴를 요구하며 11일 농성에 들어갔다.
김양희 의원(비례)과 김종필 의원(진천1)은 이날 도의회 현관 앞에서 "충북도의회는 이시종 도지사의 호위무사냐", "집행부시녀를 자처하는 도의회가 웬말이냐", "도의원 질문권 박탈하는 김광수의장 사퇴하라", "도의회를 허수아비로 만든 김광수의장 거부한다"는 등의 구호가 적힌 거치대를 앞세우고 농성에 돌입했다.
김양희 의원은 "민주당 소속 도의장이 자당 소속 도지사를 보호하기 위해 민의기관이자 대의기관인 충북도의회를 엉뚱한 호위무사 집단으로 전락시켰다"며 "이에 대한 사과 등 적절한 행동을 보이지 않을 경우 출퇴근시간에 맞춰 농성을 계속 벌이겠다“고 단호히 말했다.
앞서 김 의원은 10일 보도자료를 통해 324회 충북도의회 임시회에 신청한 대집행부 질문을 철회한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충북도의회가 도의원의 의정활동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대집행부 질문을 민주당 도지사를 호위하기 위해 횟수를 제한하더니 급기야는 질문자마저도 선별해 지정하는 김광수 의장의 횡포에 항의하기 위해 질문 신청을 철회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번 회기에서 대집행부 질문을 통해 오송역세권 개발 포기 책임소재를 규명하고 주민들과 협의 아래 대안을 강구할 것과 주민 피해 최소화 대책, 충북도와 도교육청 간 갈등에 따른 문제점, 충북도정 전반에 걸친 싱크탱크 부재로 인한 도정 난맥상과 비전 상실 등에 대해 질문할 계획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러나 질문 신청 마감을 앞두고 민주당 의원 5명이 소나기 신청을 해 질문 신청자 숫자가 갑자기 늘어나더니 김 의장이 이를 빌미로 질문자를 5명으로 제한한다면서 사실상 새누리당 동료 의원의 질문권을 박탈하는 만행을 저질렀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도의원의 의정 활동을 보장하고 활발한 대집행부 견제를 독려해야 할 위치에 있는 김 의장이 오히려 의정활동을 제한하는 것은 민주당 소속 이시종 도지사의 방패막이를 자처한 것임이 분명하다"며 "도의회를 집행부의 시녀로 전락시키려는 김 의장은 도민들에게 정중히 사과할 것은 물론 제대로 역할도 못하면서 의장 자리나 지키는 것이 타당한지 거취를 고민하기 바란다"고 주장했다.
김종필 의원은 “지난달부터 집행부인 충북도에 자료제출을 요구했는데 해당 공무원들이 질문을 하지 말아 달라고 회유를 해왔다”며 “이러고도 모자라 민주당 소속 도의원 5명이 대집행부 질문을 소나기 신청하고 의장은 이를 핑계로 질문자 수를 제한하고 나선 것은 민주당이 질문을 가로막기 위해 일부러 억지술책을 쓴 것”이라고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