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서부 경찰서 배 성 준
모든것이 새로워지는 봄, 희망과 소생의 계절 이지만 봄철에는 어김없이 찿아오는 불청객이 있으니
바로 화재 이다.
결빙기를 지나 해빙기에 접어든 요즘 건조 주의보 발령이 늘어나고 있으며 논두렁 및 쓰레기 등 소각
부주의로 인한 산불 및 쓰레기 소각으로 건물로 확대된 화재 등으로 그 출동횟수가 늘어나고 있다.
습도가 낮고 바람이 센 기상조건 하 에서는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게 되며 또한 일단 발생한 화재는
연소 확대범위가 크고 인명피해의 위험성도 한층 높다.
평상시 같으면 화재 로 까지 이르지 않을 것도 화재의 원인이 되는것은 기상조건에 좌우되는 바가 크다.
건조주의보 발령 시에는 첫째: 산림과 평야등에 서는 불 사용을 금하고 옥외에서 쓰레기를 태우거나
모닥불을 피우는 행위를 하지 말아야 한다.
둘째: 불가피하게 소각을 하더라도 완전히 잔불이 없을때까지 지켜봐야 하며
셋째: 유사시 를 대비해 소화장비를 갖추고 대비해야한다.
대부분 화재가 그렇듯이 건조주의보속 산불 및 쓰레기 화재도 계절적인 요인 이 있겠지만
대부분은 사람에 의한 인재라고 할수 있다.
부주의로 엄청난 피해를 주는 산불 및 쓰레기화재 등은 우리가 경각심을 가지고 조금만 신경을 쓰면
충분히 막을수 있어 이에 대한 시민의식의 제고가 시급하다'
우리에게 유용한 불이 되려면 "건조주의보속 화재방지" 위한 소화장비 취급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