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브룩 실즈·조디 포스터·위노나 라이더·리즈 위더스푼·나탈리 포트먼….
하버드에서 예일대에 이르기까지 미국의 명문대를 졸업한 할리우드 톱스타들이다. 대부분 어린 시절부터 연기를 해온 이들은 학사관리가 엄격하기로 유명한 대학에서 연기활동을 잠정 중단하거나, 적절히 조율하며 다른 ‘공부벌레’들과 똑같은 경쟁을 치르며 입학하고 졸업했다.지난 11일 밤 MTV ‘뉴스후’에서는 ‘유령 대학생, 연예인’을 통해 국내 연예인의 특례입학과 학사관리의 문제점을 조명했다. 지난해 대학에 입학한 연예인 중 지난 9월 말부터 한 달간 15명가량의 출결 상황을 살펴본 결과 수업을 제대로 듣는 연예인은 문근영·윤소이·박혜원 정도에 불과했다고 한다. 인기그룹 동방신기의 유노윤호·최강창민·시아준수, sg워너비의 김진호, 버즈의 민경훈, 탤런트 한은정·박한별· 이민기 등은 학교에 거의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이 프로는 일부 대학이 연예기획사와 학교 홍보 등을 조건으로 학점과 졸업을 약속하는 커넥션과 특례입학한 뒤 수업에 참석하지 않아도 학점을 부여하는 ‘연예인 특별관리’가 문제라는 지적을 했다.‘뉴스후’에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남자 연예인의 경우 병역 연기의 도구로 대학·대학원 입학이 이뤄진다는 것은 공공연하게 알려진 사실이다. 또 대외 과시용, 혹은 이미지 제고용으로 상아탑 행을 선택하는 경우도 적잖다. 타 학생들에게 상대적 박탈감을 안겨주는 대학의 주판알 튕기기가 이번 사안의 핵심 원인이지만, 성인이 된 연예인의 학문이나 자기 정체성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선택’도 짚어볼 문제다. 대입수능시험을 3일 앞둔 오늘, 현장에서 얻는 산 지식의 가치와 출석에 대한 책임감 때문에 대학을 포기한 가수 보아나, 보다 충실한 연기자가 되기 위해 인문과학을 공부하고 싶다는 배우 문근영의 선택이 소중하게 여겨진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