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와 전남도가 경륜장과 엑스포, 정부종합청사 부지선정을 놓고 좀처럼 이견을 좁히지 않고 있다. 이들 지자체는 특히 노무현 대통령이 최근 해결책으로 제시했던 ‘빅딜(Big Deal)’ 방안마저 거부, 감정적 대립으로까지 치닫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이들 현안사업의 장기간 표류가 불가피해진데다 지역민들간 갈등도 증폭되고 있다.
박 시장은 지난 18일 “경륜장을 나주시에 주고 광주시는 광산업엑스포를 유치하는 방향으로 현안을 조정할 용의가 있다”고 구체적인 빅딜 방안을 제시했다.
박 시장은 이를 위해 “시·도의 유력인사들로 구성된 조정위원회를 만들어 의견을 조정했으면 한다”며 “오는 26일 지역 기관장들과 만찬에서 정부산하기관 유치를 위해 시·도가 공동투쟁 협력할 것을 전남도에 공식 제안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박 지사는 이날 “광주시와 전남도의 입장이 다른 만큼 빅딜논의는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이들 문제는 광주와 여수, 나주시가 협의체를 구성해 결정해야 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이는 경륜장과 지방합동청사는 나주시, 세계박람회는 여수시가 각각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남도가 한쪽 지역의 양보를 전제로 광주시와 빅딜에 나서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이들 사업유치에 사활을 건 나주와 여수시는 “절대 양보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여러 차례 밝혀 왔으며 해당 지역주민들도 ‘빅딜’소식에 크게 동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 지사는 특히 “광주와 나주시 사이의 정부합동청사 유치논란은 행정 절차상 잘못된 것“이라면서 “이미 결재 라인을 통해 나주시로 확정된 사안을 행정자치부 장관이 번복한 것은 문제가 있다”고 정부를 비난했다.
박 지사는 또 “모든 일을 놓고 광주시와 전남도가 싸우는 것으로만 다른 지역에 비쳐지는 것이 안타깝다”면서 “필요하다면 박 시장을 만나 이 부분에 대해 해결할 용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전남도의 다른 고위관계자도 “당사자인 전남도와 협의도 없이 외부에 일방적인 입장을 밝히는 것은 도의에 어긋나는 것”이라는 입장표명을 했다.
한편 노무현 대통령은 지난 7일 ‘문화수도 육성방안’ 세미나 참석차 광주를 방문한 자리에서 “광주시와 전남도 간 논란이 되고 있는 주요현안사업에 대해 ‘빅딜’을 통해 해결하는 것이 좋겠다”는 입장을 밝혔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