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 관련 단체들이 대장동 개발 비리 의혹을 받고 있는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 씨와 일부 언론사 간부, 기자들 사이 돈 거래가 이뤄진 것과 관련해 깊이 반성하며 언론윤리에 대해 성찰하고 자성하는 자정의 계기로 삼겠다고 밝혔다.
한국기자협회는 오늘(10일) 성명서를 내고, 일부 언론사 간부와 기자들이 김 씨와 돈 거래를 하거나 김 씨로부터 금품을 수수했다는 의혹이 불거지면서 언론계는 충격과 참담함을 금치 못하고 있다며 이같이 전했다.
한국기자협회는 기자는 권력을 감시하고 국민의 알 권리를 충족시켜주기 위해 어느 직군보다도 높은 윤리의식과 함께 공정하고 정의로워야 하는데, 그런 기자들이 금전적으로 부당한 이득을 취했다는 의혹은 그 자체만으로도 저널리즘에 상당한 생채기를 남겼고, 일선 기자들에게 허탈감을 안겨주었다고 말했다.
한국기자협회 윤리강령에는 ‘막중한 책임과 사명을 갖고 있는 기자에게는 다른 어떤 직종의 종사자들보다도 투철한 직업윤리가 요구된다’며 공정 보도와 품위유지를 명시하고 있으며, 취재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일체의 금품, 특혜, 향응을 받아서도 안 된다고 돼 있다.
한국기자협회는 의혹에 연루된 해당 언론사를 향해 철저한 진상조사와 합당한 징계, 재발 방지책 마련을 촉구한다면서, 해당 언론사의 진상 조사가 모두 끝나면 기자협회 차원의 징계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기자협회는 다만 일부 기자들의 문제를 침소봉대해 전체 기자들을 부정한 집단으로 매도해서는 안 될 것이라며, 특히 검찰은 대장동 특혜의혹 수사라는 본류를 팽개친 채 언론인 수사를 본질을 호도하는 데 악용한다면 이 또한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주언론시민연합도 오늘 논평을 통해, 지금까지 드러난 사실만으로도 대장동 언론인 돈 거래 의혹은 2019년 언론과 기업의 부도덕한 카르텔을 보여준 ‘박수환 문자 로비 사건’, 2021년 ‘가짜 수산업자 언론인 금품수수 사건’에 이어 언론계 전방위 로비가 또다시 반복된 사건으로 참담하기 그지없다고 밝혔다.
민언련은 “우리는 검찰의 철저한 수사를 요구하기 전에 언론 스스로 자정부터 촉구하고자 한다”면서, “언론사의 자정 노력은 사과와 책임자 사퇴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건은 언론윤리 위배는 물론 청탁금지법 위반 등 언론 스스로가 규명할 일이 너무나 많다”며, “이는 일부 언론사의 문제가 아니라 한국 언론 전반의 문제로, 언론계는 철저히 진상을 조사하고, 부적절한 로비와 접대를 방지할 취재 및 보도 시스템을 전면적으로 개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