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의 해빙 즉 바다 얼음이 위성 관측 사상 역대 최소 면적으로 줄었다.
CNN방송에 따르면 미국 국립설빙데이터센터(NSIDC)는 현지 시각 21일 남극 대륙을 둘러싼 해빙 면적이 13일 기준 191만㎢로 1978년 시작된 위성 관측 사상 최소 면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기존 최소 기록은 작년 2월 25일 기록한 192만㎢로, 2년 연속 역대 최소 기록이다.
더구나 아직 남극의 여름이 1주일은 더 남아 있어 면적이 더 줄어들 가능성도 있다.
볼더 콜로라도대학의 빙하학자 테드 스캠보스 교수는 “단순한 최저기록이 아니다”라며 “해빙 면적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추세를 이루고 있다”고 설명했다.
주변 대륙에서 멀리 떨어진 남극은 그동안 기후변화의 영향권에서 다소 벗어나 있는 것으로 평가받았다. 북극의 경우 기후변화 추세에 따라 해빙 면적이 꾸준히 줄어드는 추세가 분명했지만, 남극은 몇 년 전까지만 해도 해마다 해빙 면적이 들쑥날쑥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2016년부터 해빙 면적이 눈에 띄게 감소하기 시작했다.
남극 해빙 감소에는 바람이나 해류 등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일단 남극 일부 지역 평균 기온이 평년의 섭씨 1.5도까지 높아진 것이 가장 결정적인 원인으로 지목된다. 남극 주변 서풍제트기류 때문에 따뜻한 공기가 유입됐다는 해석도 있습니다. 해수면 바로 아래에 갇힌 온난성 해류가 해빙을 녹였다는 분석도 있다.
해빙 감소는 파급력이 큽니다. 해수면 상승과 직결될 수도 있고 생태계 피해도 예상되서다.
CNN은 남극의 해빙 면적에 변동 폭이 컸다는 점에서, 최근 2년 연속 기록된 해빙 감소 추세가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았는지, 아니면 다시 해빙이 빠른 속도로 늘어날지 결론짓기는 이르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