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로이터 통신 인터뷰에서 힘에 의한 타이완 현상 변경을 반대한다고 밝힌 것에 대해 중국이 이를 반박하는 입장을 내놨다.
타이완 문제가 나오면 거의 예외 없이 반응을 냈던 중국 정부가 이번에는 한반도 문제를 거론했다.
남북한은 유엔 가입을 한 주권 국가들이고, 중국과 타이완은 하나이니 달리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엔 가입과 상호 주권 국가 인정이 반드시 양립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만큼 '하나의 중국'이 핵심 이익이란 점을 강조한 것이다.
타이완 문제는 중국과 타이완 간의 문제만이 아니라 전 세계적 문제다, 힘에 의한 현상 변경을 반대한다는 윤 대통령 발언에 대한 반박이다.
"말참견 말라"는 중국 반응은 지난 2월 박진 외교장관이 유사한 발언을 했을 때와 같지만 다른 나라 정상에게는 이례적이다.
문재인 대통령 시절 한미 정상회담에서 타이완 해협의 평화와 안정을 언급한 공동성명을 냈을 때 중국은 '불장난'하지 말라고 했고, 지난해 윤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에서 같은 내용을 담은 공동성명을 냈을 때는 외교 경로로 항의의 뜻을 전했다.
최근 G7이 외교장관 회의를 통해 타이완의 일방적 현상 변경 반대라는 하나의 목소리를 냈고, 그런 흐름 속에 윤 대통령은 곧 한미 정상회담을 한다.
중국은 향후 한미 정상이 내놓을 타이완 메시지가 있을지 주목하며 대응 수위를 조절할 것으로 관측된다.
신중하게 처리하라는 중국 외교부 요구도 그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