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30년까지 전기차 420만대를 보급한다는 계획에 맞춰, 같은 기간 전기차 충전기도 123만 개 이상 보급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제25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전기차 충전 기반시설 확충·안전 강화 방안'을 확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방안은 지난 4월 탄소중립성장위원회가 '제1차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의결 당시 설정한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2030년까지 전기차 충전기 123만 개 이상을 설치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현재까지 설치된 충전기는 전국 20만 5천 개로, 2025년 59만 개, 2027년 85만 개, 2030년 123만 개 등 해마다 목표 설치 대수를 세워 실현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 환경부는 주거지와 고속도로 휴게소 등에 충전기를 집중적으로 설치할 방침이다.
또, 급격히 증가하는 충전기 관리의 편의를 위해, 충전기 60개당 1명의 전기안전관리자가 관리하던 기존 방안에서 120개당 1명이 관리하도록 하는 등 규제가 완화된다.
한편, 환경부는 전압·온도 등 전기차 배터리 정보를 더 정확히 파악하는 방안도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전기차 화재의 경우 차량이 전소돼 화재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며, "차량뿐 아니라 배터리도 별도로 등록하는 제도를 마련하고, 해당 정보를 소방 등과 공유해 화재 발생 시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