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최근 프랑스 전역에서 확산하는 폭력 시위를 막기 위한 방안으로 ‘소셜미디어(SNS) 차단’을 언급했다가 역풍을 맞고 있다.
현지 시각 5일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와 가디언 등에 따르면, 마크롱 대통령은 전날 시위로 피해를 본 지역 시장 200여 명과의 회의에서 시위가 격화하면 필요에 따라 청소년들의 SNS 사용을 금지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프랑스에선 지난달 27일 10대 알제리계 소년이 경찰의 총에 맞아 숨진 일을 도화선으로 연일 인종차별 등에 항의하는 폭력 시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소셜미디어가 폭동을 부채질한다는 비판도 제기돼 왔다.
마크롱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우리는 소셜 네트워크에 대해, 그리고 우리가 시행해야 할 금지 조치에 대해 생각해봐야 한다”며 “상황이 통제 불능 상태가 되면 이를 규제하거나 차단해야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정치권에선 중국이나 북한, 이란 같은 권위주의 국가에서나 있을 법한 발상이라며 마크롱 대통령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 빗대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정부 당국은 “논의 대상이 아니다”며 상황 진화에 나섰다.
프랑스 현행법상 SNS 기능 일부라도 차단하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