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사교육 카르텔·부조리 신고센터 집중신고 운영 결과를 발표했다.
교육부가 2주간 사교육 카르텔·부조리 신고센터를 운영한 결과 총 325건의 신고가 접수됐다.
이 가운데 교육부는 지난 3일 2건을 경찰에 수사 의뢰한 데 이어 2건을 추가로 수사 의뢰하기로 했다.
추가되는 사안은 대형 입시학원 강사가 수능 관련 출제 경험을 가진 현직 교사들로부터 문항을 구매해 교재 등을 제작한 사안과 사교육-수능출제 체제 간 유착이 의심되는 사안이다.
기업적으로 운영되는 대형 학원들이 문항을 사들여서 마치 수능에 나올 것처럼 반복적으로 과장 홍보했다는 게 교육부 설명이다.
교육부는 또 학원-강사-모의고사 업체가 학생들에게 교습비와 학원 교재, 노트 등을 묶어 구매하도록 하는 등의 행태와 관련된 9건의 사안은 공정위에 추가 조사를 요청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이와 별도로 지난달 26일부터 시도교육청과 합동으로 25개 학원에 대한 합동점검을 실시해 위반사항을 적발했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집중신고 기간은 종료됐지만 이후에도 신고센터를 계속 운영하며 사교육 카르텔·부조리에 대해 단호히 대응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교육부는 끼워팔기식 구매 강요, 교습비 초과징수 등 제도적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 하반기 중 개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