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정부가 발표한 근로시간 개편안의 핵심은 주간 단위의 52시간제를 더 탄력적으로 운영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주 최대 69시간 근무라는 비판 속에 대통령까지 나서 재검토를 지시했습니다.
고용부는 기존 안을 거둬들이면서, 국민여론을 수렴 절차를 더 거치기로 했는데, 어제 그 결과를 발표했다.
국민 6천여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현행 주 52시간제가 '장시간 근로 해소에 도움이 됐냐'는 질문엔 48%가 그렇다고 대답했지만, 업종, 직종별 다양한 노동 수요 반영이 어렵다는 답변도 55%에 이르렀다.
정부는 연장근로 관리 단위를 현행 주간에서 월 단위 등으로 확대하는 방안에, 노동자와 사업주 모두에서 동의한다는 대답이 그렇지 않다는 답변보다 10%p 이상 높았다고 밝혔다.
특히 제조업 분야에서 연장근로 유연화가 필요하다는 답변이 가장 높았다.
주당 최대 근로시간 한도를 묻는 조사에선 근로자와 사업주 70% 이상이 '주 60시간 이내'를 택했다.
이에 정부는 현행 '주 52시간제'를 유지하되, 일부 업종은 바쁠 때 더 일하고, 한가할 때 쉴 수 있도록 유연화하겠다는 큰 방향을 제시했다.
8개월 만에 '전체 유연화'에서 '일부 업종 유연화'로 한발 물러선 것이다.
정부는 개편 방향의 세부 방안을 추후 노사정 대화를 통해 구체화해 새 근로시간 개편안을 내놓을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