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전 세계에서 기상 이변이 잇따르고 있는데 지난해 우리나라의 평균 기온이 관측 사상 가장 높았던 걸로 집계됐다.
올해는 기온도 더 오르고 국지성 폭우 같은 기상 이변도 심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전국 평균 기온은 13.7도, 전년보다 0.8도 올라 전국적인 관측이 시작된 1973년 이후 가장 높았다.
월별로 보면 3월과 9월은 역대 가장 더운달이었다. 1월부터 12월까지 모든 달의 기온이 평년보다 높았는데, 관측이래 처음이다.
높은 기온은 폭우로 이어졌다.
대기중에 많은 양의 수증기가 담기면서 지난해 전국 평균 강수량은 1,740mm가량으로 역대 세 번째로 많았다.
상대적으로 강수량이 적은 5월과 12월에도 때아닌 집중호우가 쏟아져 피해가 잇따랐고, 장미 기간 충청 이남 지역에는 일주일도 안 돼 1년간 내릴 비가 쏟아지는 등 편차도 컸다.
문제는 올해 기온이 더 오를 거란 전망이 우세하다.
지난해같은 폭우 등 극단적인 기상 이변이 더 심해질 수 있다.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한 전 세계적인 노력이 시급하지만 지난해 말 우리나라 등이 참가한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는 화석연료로부터의 전환을 촉구하는 데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