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령시, 2025 지방자치콘텐츠대상 기초지자체 부문 교육·청년 분야 대상 수상
보령시는 27일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5 지방자치 콘텐츠 대상’에서 기초지자체 부문 교육·청년 분야 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지방자치TV, 한국지방행정연구원, 한국지방자치학회, 인문콘텐츠학회가 공동 주관하고 행정안전부 및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등이 후원하는 이번 행사는 ‘AI로 여는 지방시대, 지역 성장이 ...

조희대 신임 대법원장이 취임한 뒤, 법원에선 '재판 지연'을 해소하고자 하는 논의가 활발하다.
그 중 한 방안으로 현재 2년인 재판장 교체 주기를 3년으로 늘리는 방안이 추진된다.
오는 26일 1심 선고를 앞둔 양승태 전 대법원장의 이른바 '사법농단' 의혹 사건.
2019년 2월 기소된 뒤, 1심만 만 5년을 끌어온 초장기 재판이다.
양 전 대법원장 측이 방대한 혐의사실을 대부분 다투고 있는 것도 있지만, 2021년 초 재판부 구성원 3명이 모두 바뀌면서 진행된 '공판 갱신절차' 영향이 컸다.
법원은 재판장은 2년, 그외 판사는 1년을 주기로 매년 인사이동을 하고, 새 재판부는 앞선 재판 내용을 확인하는 '공판갱신절차'를 밟는다.
보통 한 두 기일에 걸쳐 기록만 확인하거나 당사자들이 동의한다면 이 절차를 생략하기도 한다.
그러나 양 전 대법원장 측은 재판부가 주요 증인신문의 녹음파일을 전부 다시 들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일곱 달이나 걸렸다.
재판부가 바뀌어 사건 처리가 늦어진다는 지적은 다른 재판에서도 나온다.
특히 연말쯤 진행되는 재판 중 상당수는 해를 넘겨 이듬해 3월에야 다음 재판을 하게 되는 일도 잦다.
법원행정처는 올 2월 법관 정기인사부터는 재판장은 최소 3년, 그 외 법관은 최소 2년간 같은 재판부에서 근무하게 할 방침이다.
[천대엽/법원행정처장/지난 15일 : "국민에게 도움되는 연속성 있는 재판을 위해 한 법원에서는 가급적 한 재판부에 안정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인사 및 사무분담 원칙이 정립되어야 합니다."]
사법부는 재판의 연속성을 높이는 조치를 통해 사건 처리 속도를 높이고, 법관의 전문성도 확보할 수 있을 걸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