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현지 시각 15일 오후부터 열린 전시 내각에서는 다수의 보복 방식이 논의됐다고 현지 방송이 보도했다.
이번 전시 내각 회의는 이란의 공격 직후인 지난 14일 이후 두 번째다.
여러 방안 가운데 전면전을 유발하지 않는 선에서 이란에는 고통스러운 보복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방송은 전했다.
특히 미국 등 동맹이 반대하지 않는 방식을 선택할 것으로 전망했다.
분명하고 강력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점에는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헤르지 할레비/이스라엘 참모총장 : "우리는 앞을 내다보고 단계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많은 미사일과 무인기의 이스라엘에 대한 공격은 대응이 뒤따를 것입니다."]
이런 가운데 이란이 공습 72시간 전 주변국과 미국에 사전 통보했다고 주장했다.
그런데 미국이 이를 부인하면서 사전 통보를 놓고 진실 공방이 벌어지고 있다.
[존 커비/미국 백악관 국가안보소통보좌관 : "(이란이) 우리에게 또는 다른 누구에게도 공격 시기나 표적, 방식에 대해 알린 적이 결코 없습니다."]
이와 함께 이란혁명수비대를 테러단체로 지정하지 않은 G7 국가들이 지정을 고려하고 있다고도 밝혔다.
가자 지구에서는 피란민들의 북부 귀환이 허용됐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북부로 향하는 해안도로는 북새통을 이뤘다.
[아말 사와피리/피란민 : "(집에) 돌아가서 정상적인 생활을 하고 싶습니다. 6개월 동안 굴욕 속에서 살아왔습니다. 가자(시티)로 가고 싶습니다. 다른 건 원하지 않습니다."]
이 과정에서 이스라엘군이 발포했다는 증언도 나왔는데, 이스라엘군은 피란민들의 가자 북부 귀환은 허용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