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지역 환경 오염을 막기 위해 지난해 7월부터 시행하고 있는 ‘마을단위 쓰레기종량제’가 주민들의 외면을 받고있다.
3일 충남도에 따르면 도내 마을단위 쓰레기종량제 도입대상 1천268곳 중 실제 마을단위로 쓰레기를 처리하고 있는 곳은 8.8%인 112곳에 불과, 농촌지역에서는 불법 매립과 소각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을 단위 쓰레기 종량제는 마을 단위로 수거함을 설치, 쓰레기를 공동 수거하고 수거량에 따라 처리비용을 함께 부담하는 제도로 불법 매립과 소각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막기 위해 도입됐다.
하지만 금산, 부여, 서천, 예산 등 4개 시.군 451개 마을에서는 지금까지 마을단위 쓰레기종량제를 전혀 도입하지 않고 있으며 논산, 청양, 홍성, 태안, 당진 등 5개 시.군 지역에서도 지역별로 2∼3개 마을에서만 시범적으로 실시하고 있을 뿐이다.
이처럼 이 제도가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쓰레기 공동수거를 위한 기초단체의 시설과 장비, 인력 등이 크게 부족한데다 주민들의 비용부담에 따른 반발도 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 4.5t짜리 마을단위 쓰레기 수거함 하나를 설치하는 데에도 250만원 상당의 비용이 드는 데다 트레일러 등 수거장비와 인력 확충도 뒤따라야 해 재정이 열악한 기초단체가 이를 모두 부담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태다.
또 쓰레기 1톤을 처리할 경우 1만원 가량의 처리비용이 주민들에게 부담 지어져 반발을 사고있는 실정이다.
충남도 관계자는 “현재 도입 취지에도 불구하고 추진성과가 미흡한 게 사실”이라며 “재정 투자와 주민부담이 뒤따르는 일이어서 점진적으로 시행지역을 확대해 나가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충남도내 5천517개 마을 중 4천233개 마을에서 가정별 쓰레기 종량제 봉투를 사용하고 있으며 도는 나머지 1천284개 마을 중 섬 지역과 청소차량 진입이 불가능한 16개 마을 제외한 1천268개 마을 대상으로 마을단위 쓰레기종량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