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계와 장애인 단체는 숨진 교사가 생전 한 학급당 6명인 법적 정원보다 많은 학생 8명을 맡으며 격무를 호소해 왔다고 전했다.
교육 당국의 지원은 특수학급 증설이나 교사 충원이 아닌 보조 인력 투입에 그쳤다는 것이다.
숨진 교사도 "자원봉사 지원으론 한계가 있다", "못 버티겠다"고 호소했다고 한다.
교육계는 사망한 특수교사의 순직 처리와 진상조사, 특수학급 여건 개선을 촉구했다.
도성훈 인천시교육감은 교사들과의 간담회에서 사과의 뜻을 밝혔다.
그러면서 진상조사위원회 구성과 특별감사, 특수교육 현장 개선 전담 조직 구성을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