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소한 일에도 주먹을 휘두르며 친구들을 괴롭혀온 학생, 방관하지 않은 한 신고자의 용기로 학교폭력 처분을 받는다.
학교폭력의 흔적은 대학에 갈 때도, 성인이 된 이후 취업할 때도 따라다닌다는 걸 뒤늦게 깨닫고 피해자에게 진심으로 사과한다는 내용이다.
가볍게 여길 수 없는 학교폭력의 위험성을 알리기 위해 교육청이 각 학교를 순회하며 선보이는 연극이다.
연극이 끝난 뒤엔 학생과 교사, 학부모, 학교경찰관 등이 참여해 고민상담 시간도 갖는다.
지난 한 해 울산지역 학교 폭력 신고 건수는 천7백여 건, 3년 만에 30% 이상 늘었다.
특히, 딥페이크 등을 이용한 성 관련 사이버 폭력 까지 유형도 다양해 지면서 해결하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교육청은 학교폭력 문제가 생기고 수습하기 보단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가 함께 공감하고 소통하며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에 착안해 공연을 마련했다.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는 교육 당국의 노력이 성과를 거둘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