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산불에 휩싸여 4명이 숨진 경남 산청의 구곡산 급경사지, 당시 가까스로 목숨을 건진 진화대원 5명도 온몸에 화상을 입었다.
사고 당시 진화대원들이 착용한 안전모 사진이다.
불에 그을려 여기저기 쪼그라들었고, 일부는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녹아내렸다.
방염 기능이 없는 '건설 작업용 안전모'다.
안전화도 일반 등산화였고, 장갑은 불에 쉽게 녹는 재질이었다.
산림청 규정에는 산불 진화용 안전모와 안전화 등은 방염 성능을 갖춰야 한다고 명시돼 있지만, 지켜지지 않은 것이다.
방염 진화장비를 쓰도록 관리 감독할 책임은 산림청과 광역자치단체에 있지만, 대부분 수량 파악에 그친다.
기초지자체는 인력 부족 등을 탓한다.
진화대원 피해를 줄이기 위해선 제대로 된 안전 장비부터 갖춰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