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허리케인 영향 세계 석유시장 혼란 막기위해
세계 석유시장의 혼란을 막기 위해 정부가 국제에너지기구(IEA)와 공조해 비축유를 방출키로 했다. 산업자원부는 3일 IEA의 결정에 따라 하루 9만6000배럴씩, 30일 동안 총 288만 배럴의 석유를 방출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 비축유 방출은 국제 석유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한 IEA의 초기비상대응계획에 따른 것으로 3일 새벽 2시 국제에너지 기구 26개 회원국이 전격 합의한 데 따른 것이다. 산업자원부는 IEA가 2일 오후 우리측에 초기 비상대응계획의 실행 여부 결정을 요청했으며, 우리나라는 비축유 방출 규모가 미미하고 비축유 방출에 따른 석유 수급혼란 발생 가능성이 적은 점을 감안해 IEA 초기비상대응계획 실행에 찬성했다고 밝혔다. 한국이 이번에 방출하는 일 9만6000배럴은 IEA 전체 방출 물량의 4.3% 해당하는 것으로 IEA 26개 회원국은 이달 중순부터 30일동안 일일 200만배럴의 비축유를 방출한다. 7월말 현재 정부비축물량은 7465만배럴로, 이번 공동방출량 288만 배럴의 26배에 해당한다. 이번 비축유 방출조치는 허리케인으로 인한 미국의 피해가 국제 석유수급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이 우세해졌기 때문이다. 산업자원부 관계자는 "국제공조에 의한 비축유 방출로 국제 석유수급위기가 상당부분 해소되고 국제 유가 안정에도 어느정도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우리나라의 비축유 방출은 80년 정부비축 사업 시작 이후 2번째로 지난 1990~91년 걸프전 당시 미국, 독일, 일본 등과 함께 총 494만배럴의 비축유를 방출한 바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