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
광주시-전남대-북구-LH공사 전남대 캠퍼스혁신파크 조성에 손 잡았다
청년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캠퍼스혁신파크 조성사업에 광주광역시와 전남대, 북구,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손을 잡았다.광주시와 전남대, 북구, 한국토지주택공사는 21일 오전 전남대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이용섭 시장과 정성택 총장, 문인 청장, 김현준 사장이 참석한 가운데 전남대 캠퍼스혁신파크 조성사업 추진을 ...
-
광주시, 지역 중소기업에 하반기 경영안정자금 지원
광주광역시는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2021년도 하반기 경영안정자금 지원에 들어간다.지원 규모는 600억원으로, 상반기에 지원된 1600억원을 포함하면 지난해보다 200억원 확대된 총 2200억원 규모다.지원 대상은 광주시에 사업장을 둔 중소기업으로, 제조업 전업률 30% 이상인 제조업체 및 제조업 관...
-
광주 빛그린산업단지 통근버스 19일부터 운행
광주광역시는 ‘광주 빛그린산업단지’ 근로자들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통근버스를 19일부터 운행한다.통근버스는 광주시와 한국산업단지공단 광주지역본부, 광주경제고용진흥원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지난 1월 고용노동부의 산업단지 근무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통근버스 임차지원사업에 선정돼 정부로부터 사업비 2억원을 지원받아...
-
광주시, ‘걷고 싶은 가로숲길’ 동구 금남로 확정
광주광역시는 온라인 시민 투표를 통해 ‘걷고 싶은 가로숲길’로 동구 금남로를 최종 확정했다.‘걷고 싶은 가로숲길’은 도심 녹색 오아시스인 가로숲길을 시민들이 즐겨 찾는 공간으로 관리하기 위해 추진한 정책이다. 자치구별로 걷기 편하고 아름다운 가로숲길을 2곳씩 총 10곳을 추천받아 1차 심사로 지난 6월23일 도시림 등의 조성·...
-
광주시, 해외 자매결연도시 온라인 청년문화교류
광주 청년들과 일본 센다이시, 인도네시아 메단시 등 광주광역시 해외 자매결연도시 청년들이 문화교류 할 수 있는 온라인 프로그램이 진행된다.광주시가 주최하고 광주국제교류센터에서 주관하는 이번 청년문화교류는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온라인으로 한국문화체험을 자매결연도시에 알리고, 랜선여행과 주제별 토론 등을 통해 참가자...
-
광주시, 개인택시 면허 양수 진입장벽 낮춘다
광주광역시는 운수종사자의 개인택시면허 양수요건을 완화하기로 했다.광주시는 지난 13일 ‘광주시 여객자동차 운소사업 개인택시면허 사무취급 규정’을 개정해 개인택시운송사업 면허 양수 시 필요한 무사고 운전 요구경력을 ▲법인택시와 시내버스 등 영업용차량 운수종사자는 기존 3년에서 2년 6개월로, ▲회사 통근버스, 회사 배송...
-
광주시, 동물등록 자진신고기간 운영
광주광역시는 반려견을 등록하지 않은 소유자의 자발적 동물등록을 유도하기 위해 오는 19일부터 9월30일까지 동물등록 자진신고 기간을 운영한다.자진신고 기간 신규로 동물등록을 하거나 기존 정보를 변경 신고하면 미등록이나 변경신고 지연에 따른 과태료가 전부 면제된다.등록대상 동물은 주택·준주택에서 기르거나 이외 장소에서 반...
-
제5대 광주시 청소년의회 1차 본회의 개원
광주광역시는 제5대 광주광역시 청소년의회가 10일 광주시의회 4층 본회의장에서 1차 본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이날 상정된 안건은 총 4건으로 ▲광주광역시 아동‧청소년의회 운영규칙 일부 개정 안(여기청소년있당 박상윤 의원) ▲광주광역시 청소년 고용사업장 근로계약서 5일 이내 교부 의무화 조례 신설 안(노동나동당 김주아 의원)...
-
광주시, 온실가스 저감 우수시설 탄소포인트 지급
광주광역시는 지난해 전기·수도·가스 등 에너지를 절약해 온실가스를 저감시킨 27개 우수시설에 총 5400만원의 탄소포인트제 사업비를 8월 말까지 지급한다.평가 대상은 탄소포인트제에 가입한 총 861개 시설로 학교, 상업시설, 배출시설 등 3개 분야로 구분해 최근 2년간(2018년~2019년) 에너지(전기·수도·가스) 평균사용량 대비 지난해 온실가...
-
5‧18기록관, 1980년대 미국 기록문서 추가 공개
5·18민주화운동기록관은 지난 6일 1980년대 미국 기록문서 21건을 홈페이지에 추가 공개했다.이 기록문서는 1980년 당시 미국 기관에서 생산한 기록문서를 대한민국 외교부에서 전달받아 5·18기록관에 제공한 것으로, 총 70쪽 분량이다. 당시 미국 기관이 정보를 얻기 위해 최규하 대통령, 주영복 국방장관, 전두환 등과 한 면담, 정치‧경제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