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대표팀 주장 손흥민 가나전 앞두고 "과거에 얽매이기보다는 미래를 바라보겠다"
대표팀 캡틴 손흥민의 환상적인 프리킥 한 방은 볼리비아전 답답했던 흐름을 확 바꿔놓았다.벌써 네 번째 월드컵을 앞둔 베테랑은 세월의 흐름이 무색하게 세트피스에서 치명적인 무기까지 장착했다.손흥민은 2022년 카타르 월드컵 당시 부상 탓에 마스크를 쓰고 만났던 가나에게 뼈아픈 패배를 맛봤다.하지만 안방에서의 설욕보다는 내년 ...
- 17개 시·도 우수 지방세 연구과제 발표 및 세정 발전방안 논의
보령시는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17일부터 18일까지 1박 2일간 충남 보령시 한화리조트 대천파로스에서 ‘2025년 지방세정 발전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1983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는 지방세 발전포럼은 지방자치단체 및 유관기관이 참석하는 지방세 최대 규모 행사로 자리매김해 오고 있다. 이번 포럼에는 행안부 지방재정경...

한화그룹이 상시적이고 지속적인 직무에 근무하는 비정규직 직원 850여명을 2017년 9월부터 내년 상반기(6월)까지 정규직으로 전환하며 ‘함께 멀리’라는 그룹의 동반성장 철학을 실천하고 기업의 경제적, 사회적 책임을 성실히 이행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이번에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동일한 직무에 대해서는 앞으로는 정규직 또는 정규직 전환 전제형 인턴사원으로 채용해 비정규직 비율을 지속적으로 감소시킬 방침이다.
한화그룹은 2013년 3월에 10대그룹에서 가장 먼저 비정규직 2,040명을 자율적으로 정규직 전환한 바 있다.
이번에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근로자는 상시적이고 지속적인 직무에 종사하는 계약직 직원으로 한화호텔&리조트, 한화갤러리아 등 서비스 계열사 직원이 주로 분포해 있다.
계열사별 정규직 전환 대상 직원은 한화호텔&리조트 등 서비스 계열사 660여명 등 총 850여명이다.
이번 정규직 전환대상자 850여명중 여성 대상인력은 430여명으로 전체 51%를 차지한다. 이번 조치로 회사내 여성 인력의 고용안정과 삶의 질 개선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이번에 전환인력의 상당수를 차지한 한화호텔&리조트 정규직 전환 대상자들의 연령대를 분석해본 결과 20대가 76%를 차지했고 30대 15%, 40대 7%, 50대 2% 등으로 나타났다. 이번 정규직 전환에서 사회초년생인 청년층인 20대가 많았다.
20대의 비중이 가장 큰 것은 서비스업종의 청년층의 비정규직 비율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이번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통해 갈수록 어려워지는 청년층 노동시장여건이 보다 개선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회사는 정규직으로 안정적인 근무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고객서비스 질과 생산성이 향상될 것이라 보고 있다.
한화그룹은 소속사별로 정규직 전환대상자에 대한 근무 성적 평가를 통해 ’17년 9월부터 내년 상반기까지 순차적으로 정규직 전환을 진행할 계획이다.
정규직으로 전환된 직원들은 안정적 고용안정 보장뿐 아니라 기존의 정규직과 동일한 복리후생과 정년, 승진의 기회도 보장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번 시행에 따라 정규직으로 바뀌게 된 한화호텔앤드리조트 식재고객지원팀의 전혜리(24세)씨는 “이곳에 오기 전에 다른 회사에서 계약직으로 근무했다. 계약직의 특성상 2년 계약기간이 끝나면 회사를 그만둔다. 계약종료로 그곳을 그만두고 왔기에 비정규직의 불안함과 고통을 너무 잘알고 있다”며 “정규직 전환소식을 듣고 너무 기뻤다. 고객상담도 더 즐겁게 할 수 있고 신분이 안정되니 미래의 인생설계도 더 구체적으로 계획할 수 있어 행복하다”고 말했다.
함께 정규직 전환소식을 들은 한화테크윈 재무회계팀의 서혜린(23세)씨는 “작년 졸업을 앞두고 취업문을 두드릴 때는 찬밥 더운밥 가릴 처지가 아니었다. 계약직이라도 일을 배울 수 있다는 기대로 열심히 일했는데 기쁜 소식을 들어 매우 행복하다”며 “아직 취업을 못한 상당수 대학친구들에게도 희망을 갖고 계속 도전하라고 이야기하겠다”고 말했다.
이번에 가장 많은 정규직 전환을 진행하는 한화호텔앤드리조트의 최민호 인사팀 차장은 “서비스업종의 특성상 현재 경영상황이 쉽지만은 않다. 회사로서는 비용절감이 매우 중요한 상황이지만 이번 정규직 전환을 통해 종업원에게는 안정적인 회사생활을 보장하고, 고용안정을 통한 동기 부여와 소속감 상승으로 직원들의 로열티를 끌어올리겠다”며 “회사는 이번 조치로 서비스직군의 잦은 이직을 사전에 방지하고 종업원 만족도 향상으로 서비스업에서 가장 중요한 고객에 대한 차원 높은 서비스 제공과 생산성향상도 함께 이끌어 낼 것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