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를 비롯한 이른바 '삼성의 도시'들이 새해 초부터 비상이다.
지방세 수입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이 15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해 심각한 세수 결손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삼성전자 본사가 있는 수원시.
전체 법인지방소득세 수입의 3분의 1가까이를 삼성전자로부터 받아왔다.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이 51조 원으로 고점을 찍은 2021년.
수원시는 다음해 2천140억 원을, 삼성반도체가 있는 화성시는 수원시보다 많은 2천790억 원을 세금으로 받았다.
하지만 반도체 수출부진이 바닥을 치면서 지난해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은 6조 5천억 원으로 2년 만에 87% 넘게 폭락했다.
비상이 걸린 건 삼성전자의 재정기여도가 높은 이른바 '삼성의 도시'들 이다.
수원시가 올해 삼성전자로부터 받게 될 세금은 지난해보다 천억 원 이상 감소한 2백억 원대로 전망됐다.
지난해까지 2년 연속 2천억 원대의 지방세를 받아온 화성시, 삼성 사업장이 있는 평택시, 용인시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올해 부족한 세수는 그동안 적립해둔 통합재정안정화기금을 활용해 충당하지만 분야별로 사업 시기를 대폭 조정했다.
이참에 특정 기업 의존율이 높은 이들 시군의 세입 구조에 적극적인 변화와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수원시가 첨단 우량기업 유치에 공을 들이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