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
‘아이폰 통화 녹음앱’의 운명은?…“위법 여부 검토중”
2021년 출시된 통화 녹음 애플리케이션이다. 애플이 제공하지 않는 통화 중 녹음 기능이 이 앱에선 가능해 큰 호응을 얻었다. 앱을 실행하고 전화를 걸면 070으로 시작하는 인터넷 전화망으로 연결된다. 인터넷전화망을 이용하지만, 상대 전화에는 070이 아니라, 010 휴대전화 번호로 표시된다. 그런데 지난해 6월부터 관계 당국이 이...
-
반도체 622조 투자…“세계 최대·최고 만들겠다”
2019년, 일본이 실시한 반도체 핵심 소재 수출 규제는 우리 공급망의 취약성이 드러난 계기였다. 하지만 여전히 자립률은 30% 수준에 머물러 있다. [신승아/SK하이닉스 부사장 : "현재 대략 장비가 20%, 소재 50% 수준으로 추정되며, 핵심 소부장(소재·부품·장비)의 국산화율은 여전히 낮은 상황입니다."] 공급망 자급률 50% 달성. 정부...
-
혁신상 휩쓴 K-스타트업…전 세계 사로잡았다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놓치지 않고, 혁신적 기술로 승화시킨 우리 벤처 기업들이 전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세계 최대 IT·가전박람회, CES 혁신상을 받은 우리 벤처 기업만 110곳이 넘는다고 한다. 도로를 달리는 자율주행 차량, 운전자의 눈을 대신하는 건 지붕에 달린 센서다. 이 기술은 실시간 유동 인구 측정에도 적용된다. 센...
-
“이건 좀 탐나는데?”…랜선으로 둘러보는 CES 2024 ‘잇 아이템’
지난 12일(현지시간) 세계 최대 가전 IT 전시회 'CES 2024'가 나흘간의 일정을 마치고 폐막했다.올해로 57돌을 맞는 'CES'에는 150여 개국 총 4,100여 개 이상의 업체들이 참석하고 관람객 수도 13만 명을 넘기는 등 뜨거운 반응이 이어졌다.2024년의 트렌드는 '인공지능(AI)'으로 AI가 자동차, 가전, 뷰티 등 다양한 분야를 넘나드는 모습을 확인할 수...
-
회의 중 ‘욕설’ 야권 위원 해촉 건의…격랑 속 방심위
여야 추천 위원들의 대립이 격화되면서,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혼란에 빠졌다. 야권과 일부 언론 등에서 제기한 방심위원장 관련 의혹으로 파행을 거듭하더니, 결국 야권 위원이 회의 중 욕설을 내뱉은 이유로 해촉 건의까지 가게 됐다. 지난 9일 열린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방송소위, 회의 시작 6분여 만에 자리는 비어 있고, 회의장 바...
-
과기부 “우주항공청 5월부터 업무 시작”
정부가 오는 5월 우주항공청 개청을 목표로 본격 준비 작업에 돌입했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늘(11일) ‘우주항공청 설립 관련 법률 국회 통과’ 브리핑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우주항공청은 우주 정책과 연구개발을 총괄하는 과기정통부 산하 조직으로, 올해 5월 개청이 목표다.과기정통부는 우선 5월까지 시행령안과 조직 운영을 위한 ...
-
고도화되는 허위조작 정보…“책임 강화해야”
지금은 없어진 한 유튜브 채널, 유명인 결혼 등 자극적인 허위조작 영상을 지속적으로 올렸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유튜브 측에 해당 채널에 대한 검토를 요청하자, 돌아온 답변은 "정책 위반을 찾지 못했다"였다. 유튜브 측은 이후에도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고, 채널 운영자가 자진 삭제하기 전까지 영상 100여 개는 한동안 계...
-
‘CES 2024’ 서울관 개막…역대 최대 규모
서울시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 기술 박람회 'CES 2024'에서 서울관을 운영한다.CES는 미국소비자기술협회 주관으로 매년 1월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기술 박람회로, 서울시는 2020년부터 참여하고 있다.올해는 서울경제진흥원과 서울바이오허브, 서울AI허브, 고려대, 연세대 등 13개 협력 기관과 서울소재 스타트...
-
AI 본격 적용 시대…기대 ‘반’ 우려 ‘반’
지난 2022년 말 챗GPT가 등장하면서 인공지능, AI 기술이 빠른 속도로 진화하고 있다. AI는 이제 호기심의 영역을 넘어, 일상을 빠르게 파고 들고 있고, 산업까지 재구조화 할 정도로 도약하고 있다. 전체 무대를 촬영하지만 동시에 멤버 한명 한명의 동작과 표정을 생생하게, 빠르게 잡아내 이른바 '직캠' 영상을 완성한다. AI 편집 ...
-
‘우주항공청 특별법’ 과방위 통과…한국판 NASA 출범한다
달 탐사선 다누리호,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처럼 우주를 향한 우리의 도전이 더욱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 우주항공청 설치 특별법이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를 통과했다. 오늘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 이르면 올해 상반기에 설립될 것으로 보인다. 인류 최초의 달 착륙에서부터, 제임스 웹 망원경까지. 우주를 향한 인...





